정체불명의 상고대 ▶ 2015.1.10(토) 14:00~15:00 ▶ 경로 : 강당골-철마봉-정상-이마당-멱시 <GPS 자료 *원도: Google Earth> <해발 600m 부근. 정상까지의 거리는 약500m이다> <북사면이어서 눈이 잘 녹지 않기 때문에 계속 쌓인다> <정상에서 바라본 오후 햇빛> <오랜만에 찍어 본 정상 인증샷> <눈 ..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5.01.11
예안이씨 진사공파 선산 광덕산 북록은 예안이씨 진사공파의 사유지이다. 정확히 어느 시기에 어떤 연유로 이 땅이 예안이씨의 소유가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외암리가 종족촌락으로 융성하는 데 있어 중심 인물인 외암 이간(1677~1727)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은 가능하다. 이간이 태어나기 이전부..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5.01.11
갑질을 조장하는 사회, 갑질 문화 땅콩 회항 사건으로 우리 사회의 '갑질 문화'가 논란이 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특이한 돌발사태가 아니라 뿌리 깊은 구조적인 문제라는 데 있다. 아파트 경비원에 대한 갑질, 백화점 모녀의 갑질 등등 유사한 사건들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것을 보면 우리 사회가 매우 경직된 상하 문..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5.01.11
태양의 회귀-남중고도의 변화 ▶ 시기별 해 뜨는 위치 및 시간 - 촬영한 곳 : 충남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36°47'33.40"N / 127° 5'47.93"E - 촬영한 날 : 하지(2014.6.21, 06:37) / 추분(2014.9.23, 07:20) / 동지(2014.12.23, 07:56, 날이 흐려서 동지 다음날 찍음) ▶ 시기별 정오의 태양 높이 - 촬영한 곳 : 충남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36°47'18.56.. 자연지리/기후 2015.01.08
[펌]바다의 구분 -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공해 ☞ 클릭! http://blog.naver.com/b2j0m11/220033581419 인문지리/위치&지도 2015.01.07
RC Car를 만나다 ▶ 2014.12.28 <경로 GPS자료. 강당골-정상-이마당약수터-멱시> <도토리는 다람쥐에게> <서릿발> <하산중인 RC Car 동호인들을 만났다> <철마봉 남사면은 언제나 눈이 빨리 녹는다> <철마봉 아래 임도에서 훨씬 회원 수가 많은 RC Car동호인들을 만났다. 사진 한 장 찍겠다고..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5.01.07
눈 내린 날 광덕산에 가면 곤줄박이를 만날 수 있다 눈 내린 날의 광덕산행은 특별한 맛이 있다. 우선 적당히 눈이 쌓이면 산행이 편하다. 울퉁불퉁한 바닥을 모두 덮어주기 때문이다(물론 아이젠을 해야 한다). 산이 제법 높기 때문에 중턱을 넘어가면 거의 눈이 녹지 않고 쌓여 있다. 남쪽 사면(광덕사 쪽)은 눈이 빨리 녹기 때문에 겨울 산..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5.01.05
사천 금성리 녹차 & 정곡리 5일장 경남 사천시 곤명면 금성리는 차를 많이 재배하는 곳이다. 1월 평균기온 1℃가 북한계인 차는 남해안과 제주도에서 주로 생산이 된다. 난대성 작물이므로 기온이 낮으면 겨울철에 얼어죽기 때문에 남부지역 외에는 재배하기가 어렵다. ☞ 동해(凍害)를 입은 차밭(전남 보성) http://blog.daum.n..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5.01.04
낙남정맥은 없다 ▶ 물은 산을 넘지 못한다구요? '물은 산을 넘지 못한다' 산경(山經), 즉 분수계의 개념으로 산을 파악했던 우리의 전통적 지리인식체계에 바탕을 둔 명제이다. 물줄기를 나누는(分水) 것이 산줄이이므로 물이 산을 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산의 아버지 백두산은 이 땅의 모든 산과 이어져 있다' 우리나라의 모든 산에서 출발하면 한 번도 냇물을 건너지 않고 백두산에 이를 수 있다. 백두대간 준령에 있는 산이 아니어도, 전국 어디에 있는 야산이라도 모두 그렇다. 이 역시 산경 개념에서 나온 명제이다. 참 신기한 일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그다지 신기할 것도 없다. 섬이 아닌 이상 이 땅의 모든 산줄기는 어떤 식으로든 서로 연결이 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다. 물이 산을 넘지 못하니까 반대로 모든 산은 .. 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2015.01.02
경상도 땅은 똑같다? 경상도 전체가 똑같을 리는 없다. 하지만, 경상도를 여행하다 보면 자주 볼 수 있는 땅 모양이 있다. 바로 수평층이다. 지층이 휘어지지 않고 반듯한 모양을 하고 있는 지층이다. 물론 완전한 수평은 아니다. 약간 기울어져 있지만 지층의 상태가 휘어져 있지 않고 직선이다. 경부축을 따.. 자연지리/지질&암석 201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