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금산: 인삼과 임진왜란 전투 5

왜군의 호남 침략을 저지한 금산 전투

▣ 호남과 충청우도를 우회한 왜군: 보급로 및 퇴로를 확보하지 못하다 임진왜란 때 충절 관련 인물과 유적이 많은 것이 금산의 큰 특징이다. 표충사(조헌 사당), 이치 대첩비(권율장군), 고경명선생비, 칠백의총, 충민공순절비(권종), 의병승장비(영규대사 추모비) 등 임진왜란 관련 인물과 유적이 금산에는 눈에 띄게 많다.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었다는 뜻이다. 영남로, 호남로 등 주요 도로에서 벗어나 있는 오지에 불과했던 금산이 이처럼 주요 전장이 되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 나라를 구한 이순신: 왜군의 보급로와 퇴로를 끊어 당초 敵은 수륙 양면으로 합세하여 서쪽 방면을 공격하려고 했다. 그러나 수군이 한산도에서 이순신의 수군에게 크게 패함으로써 완전히 위세가 꺾이고 말았다. 이 때문에 고니시가 비록 평양성을 ..

충청과 호남의 점이 지대: 행정 구역 변천

▣ 전라도에서 충청도로 금산의 원 지명은 ‘내〔川〕가 길다’는 뜻의 ‘진내’였다가 진예, 금계, 금주 등을 거쳐 금산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금산군과 진산군 2개 군의 영역이었으며, 일제 강점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합되었다. 조선시대 전라도에 속했으나 대한제국 때인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잠시 충청도에 속했다가 이듬 해인 1896년 금산군·진산군이 모두 전라도로 환원되었다. 일제 강점기 내내 전라도에 속했다가 해방 후인 1963년 충청남도로 다시 환원되었다. 무주, 진안, 완주 등 전라북도와 인접하고 있으며 충청남도의 동남쪽 끝에 위치하여 충청도와 전라도의 점이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겪었던 역사적 사건이었다. ▣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 삼국시대에 금산군 일대는 영호남을 잇는 길목이었던 까닭..

금산 인삼

▣ 언제부터 금산에서 인삼이 재배되었을까? ▶ 1500년 전? 설화에 따르면 1500년 전부터 인삼이 재배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중국의 陶弘景(452~536)이 집주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1500여년 전 백제에서 인삼이 재배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다(김순기, 1992). 인삼통 금산군청 인삼통 홈페이지입니다. www.geumsan.go.kr ▶ 예로부터 품질을 인정받았던 금산인삼 인삼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은 로 알려져 있다. 에는 당시 '중국에서는 삼이 난 지역에 따라 고(구)려 삼, 백제삼, 신라삼으로 구별하였다'고 적었다. 또한 '북쪽의 고려삼은 크고 물렁하여 백제나 신라삼에 미치지 못한다'고 하였다. 명나라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는데 '인삼 중에서 백제의 것을 ..

금산: 위치와 자연환경

▣ 위치 충청남도의 동남부에 있는 금산군은 동쪽으로 충북 영동군, 서쪽으로는 충남 논산시‧전북 완주군, 남으로는 전북 무주군·진안군, 북쪽으로는 대전광역시‧충북 옥천군과 맞닿아 있다.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7°38′~127°19′, 북위 35°58′~36°16′에 걸쳐있어 동서 폭 24km, 남북 길이 23km의 범위이다. 금산군청을 기준으로 서천-금산-구미-포항과 동일 위도대, 흥남-안변-가평-이천-진천-청주-금산-진안-남원-구례-순천과 동일 경도대를 이룬다. ▣ 지질구조: 화강암, 퇴적암, 변성암, 심지어 화산암도 있다. 중생대 쥬라기 화강암류와 백악기 화강암류가 가장 많다. 금강유역에 속하는 지역들은 거의 대부분 화강암 지대이다. 화강암은 금산읍 일대에서는 저지대를 이루고 있는 반면, 동북부의 군..

금산: 인삼과 임진왜란 순절

▣ 인삼과 임진왜란 격전지는 연결 고리가 있을까? '금산' 하면 떠오르는 것을 물으면 열 중 아홉은 '인삼', 또는 '칠백의총'이라고 답할 것이다. 금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인삼 생산지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들의 순절지이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시작하여 수도 없이 들어온 '대한민국의 상식'이다. 그렇다면 '인삼'과 '임진왜란 의병'은 연관성이 있을까? '금산'이라는 같은 공간에서 두 가지 상징이 발생했으므로 최소한 비슷한 지리적 배경 정도는 가지고 있을 것이다. 둘 사이의 역사적 맥락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상상력을 좀 동원한다면 둘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 다름 아닌 '산간 오지'라는 지리적 특성이다. 주요 도로에서 떨어져 있는 오지성, 산지가 대부분인 지형 특징이 두 가지 사실을 하나로 엮는 연결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