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Happy 700'과 스키장 'Happy 700'을 군을 상징하는 구호로 내걸고 있는 평창. '산골'의 이미지를 '관광 레져'와 '건강 힐링'의 이미지로 바꾸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대관령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평창은 전통적으로 고위평탄면을 이용한 화전과 밭농사로 유명했던 곳이다. 하지만 지금의 평창은 스키장으..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5.03.28
종상화산 울릉도 울릉도는 전형적인 종상(鐘狀, Tholoide)화산이다. 점성이 강한 조면암질 용암이 주로 분출하였기 때문이다. 분화구인 나리분지를 제외하고는 평지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으며 해안도 대부분 급경사의 해식애를 이루고 있는 곳이 많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 때문에 아직까지도 울릉도 ..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울릉도 여행 2015.03.27
트럼펫 연주-밤하늘의 트럼펫(Il silenzio) http://tvpot.daum.net/v/AYATEbcAVQw%24 <Nini Rosso 연주 영상> <Wonderland by night 밤하늘의 블루스> ☞ Free Buzzing trumpet lip development https://www.youtube.com/watch?v=BU_Wo3Zm0AM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5.03.27
울산 공업의 상징 울산항 울산항만공사 전망대(남구 매암동)에 올라 보면 울산항이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 태화강 하구의 안쪽으로는 울산항과 미포항이, 남쪽으로는 장생포항이 보인다. 현대자동차 앞쪽은 조선시대까지 울산을 대표하는 항구였던 염포 자리이다. 하구 밖으로는 방어진항(북쪽)과 울산신항(남..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울산 답사 2015.03.24
동해안 해안단구: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 신생대 제3기에 있었던 비대칭 요곡운동의 결과로 한반도는 동고서저의 경동성 지형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가 되는 지형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해안단구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동해안에는 해안단구가 여러 곳에서 관찰이 되는데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가 가장 유명하다. 정동진 단구는 단구면의 높이가 높아서 융기량이 상당히 컸다는 것을 알려준다. 정동진 해안단구(海岸段丘, shore terrace)신생대 제3기에 있었던 경동성요곡운동으로 동해안에는 해안단구가 형성되었다. 동해안에서 가장 전형적인 해안단구는 정동진에 발달한다. 드라마 '모래시계' 덕분에 지금은 매우 유명한 곳이lovegeo.tistory.com 한반도 전체가 동쪽으로부터 경동성 요곡운동을 받았지만 동남해안의 경우는 융기량이 한반도 중북부에.. 자연지리/해안과 해양 2015.03.22
고래와 골리앗 크레인-울산 대한민국 공업화의 상징인 울산. 울산은 무엇을 지역의 상징으로 만들었을까? 의외의 상징을 두 가지나 만났다. 고래와 골리앗 크레인이다. 고래는 공업도시 울산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 든다. 더구나 지금은 고래잡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울산에서 고래를 구경하기란 쉬운 일이 ..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5.03.22
금관의 경주, Beaitiful GyeungJu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관광도시인 경주는 지역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무엇을 내세우고 있을까? 불국사, 석굴암, 왕릉, 대왕암… 너무 많아도 대표를 뽑아내기가 어렵다. 경주의 선택은? 왕관이다. 금관총에서 발굴된 금관이 경주의 아이콘이다. <금관총에서 출토된 금관> <영문 ..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5.03.22
두 번 째 차령-곡두재 ▶ 산행일: 2015.3.15(일) 09:20~15:30 약 6시간(점심식사 시간 포함) ▶ 경로: 차령~곡두재. 약 11.5km <중간에서 잘린 GPS경로(빨간 점선 부분). 배터리를 충전해놓지 않아서 사달이 났다> ▶ 월광의 아홉번 째 금북 국도 23번 차령고개에서 출발하여 곡두고개까지 가는 이번 구간은 우리 월광의 .. 금북정맥/차령~곡두재 2015.03.21
차령산지의 식생 ▶ 대나무 전통적으로 온대와 냉대의 경계로 일컬어졌던 차령산지는 이제 온난화 때문에 완벽하게 온대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온대의 지표종인 대나무가 차령을 넘은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차령산맥'이라는 이름의 근원이 되었음직한 '차령고개'는 공주시와 천안시의 경계를 이루.. 자연지리/식생&토양 2015.03.20
독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와 이슈들 ▶ 신 한일 어업협정 : 1998.9.25 1965년 6월에 체결된 한일협정의 부속조약의 하나로 체결되었으며 1998년 일본이 일방적으로 한일어업협정을 파기함으로써 1998년 재 조인되었다. 1965년 최초 조약 때 독도 인근을 공동어로구역으로 설정하여 이후 독도를 둘러싼 여러 갈등의 빌미를 제공하였..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울릉도 여행 201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