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리(剝離, exfoliation)-고용산 판상절리가 발달하는 화강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으로 기반암에서 암괴가 양파 껍질처럼 떨어져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아산시 영인면 고룡산에서는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형태의 화강암 암괴를 볼 수 있으며 풍화가 진행중인 모습들을 볼 수 있다. ☞ 화강암 판상절리 http://blog.daum.. 자연지리/풍화&침식 2015.04.29
화강암 판상 절리(板狀節理, sheeting joint) 심성암인 화강암은 지표에 노출되기 전에는 엄청난 양의 압력을 받고 있었다. 보통 암석은 3~4m 마다 압력이 1기압 정도 증가한다. 따라서 화강암을 덮고 있던 암석들이 제거되고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되면 엄청난 양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암석이 팽창을 하게 된다(해저 퇴적층의 경우도 .. 자연지리/풍화&침식 2015.04.29
날 닮은 팽귄 불쑥 튀어 나온 배가 나를 닮은 팽귄이다. 아마도 내 모습을 떠올리고 만들었음직한 팽귄을 유진이가 들고 왔다. 까만 색이 칠해져서 어떤 돌인지 구별할 수는 없지만 하천이나 바닷가에서 득템했을 듯한 조약돌이다. 그림을 그리는 유진이 답게 아이디어와 색칠이 재밌다. 아랫부분이 ..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5.04.27
울릉도에 반경 100㎞ 크기 초대형 소용돌이···4개월째 지속 울릉도를 중심으로 반경 100㎞ 크기의 초대형 소용돌이가 발견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수개월간 인공위성과 조사선을 활용한 해양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울릉도를 중심으로 반경 100㎞ 크기의 소용돌이가 발견됐다고 16일 밝혔다. 소용돌이 안에는 따뜻한 해수가 갇혀있으며 이 같은 현..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5.04.16
물건리 어부림 해안에 인접한 어촌은 바람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 막아주는 것이 방풍(방조)림으로 어촌에서 흔히 발견이 된다. 서해안이나 동해안의 경우는 사구에 발달한 해송숲이 일반적이다. 기후 및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강한 해송은 방풍(방조)림으로 가장 많.. 자연지리/식생&토양 2015.04.06
거슬림 자연과 마주하면 그 아름다움을 담고 싶은 것이 모든 사람의 공통점일 것이다. 앵글을 이리저리 조절을 하다보면 의외로 수많은 인공물의 장벽에 부딪힌다. 찍을 때는 미처 발견을 못했는데 완성된 사진을 정리하다가 발견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거슬림. 아름다운..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5.04.06
북중국+양쯔+커테시아+뷰레아소…한반도는 4개대륙 합종연횡 산물 중생대 남·북 중국대륙 충돌로 현모습 생성 홍성~오대산 지역서 충돌증거 암석들 나와 2천만년전 동해 생기면서 한반도·일본 분리 ☞클릭!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463490.html <한겨레신문, 2011.2.15> ☞클릭! ‘신의 직소퍼즐’, 판게아울티마 http://www.hani.co.kr/arti/science/ki.. 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2015.04.06
광덕산에서 가장 긴 코스 ▶ 산행 일 : 2015년 3월 28일(일) ▶ 코스 : 광덕사 앞 주차장-설화산 갈림길-장고개-장군바위-정상-천마봉-주차장(10.2km) <산행 코스 *원도: Daum지도> 우연히 우리반 아이들과 광덕산에 갈 기회가 생겼다. 고등학생 정도의 연령대 청소년들은 산에 가는 것을 싫어하는 것이 보통이다. 나도 ..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5.04.05
국내 최초 해저 분화구 발견-제주도 근해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항 남동쪽 4km 해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해저 분화구가 발견되었다. 최저 수심 64m이며 지름이 대략 600m에 이른다. 지름 600m 규모는 한라산, 산굼부리, 성산일출봉 등 제주도의 대표적인 분화구와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 분화구 주변에서는 용암이 흘러내린 흔적과, ..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5.04.01
백두산의 식생 백두산은 한반도 최고봉이지만 한라산에 비해 식생의 수직분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해수면으로부터 1950m나 솟아있는 한라산에 비해 백두산은 화산체 바닥의 높이가 해발 1500~2000m를 넘나들기 때문에 실제 식생의 수직분포가 나타날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다. 더욱이 냉대지.. 자연지리/식생&토양 201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