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데기-울릉도 나리분지에 보존 가옥이 몇 채가 있다. 하나는 지붕은 너와이고 우데기도 나무 판자로 만든 집이고(http://blog.daum.net/lovegeo/6780559), 다른 것은 지붕도 우데기도 모두 억새로 만든 집이다. 물론 모두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집들은 모두 우데기가 없을까? 여전..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5.05.18
너와 지붕-나리분지 울릉도 나리분지에 우데기와 너와 지붕을 볼 수 있는 보전가옥이 하나 있다. 실제 사람이 거주하는 가옥으로 우데기나 너와 지붕을 찾아보는 것은 이제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박제화된 유물이지만 볼 수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5.05.17
큰 그릇이 필요한 이유 발코니에 '이름 모를 꽃'이 있었다. 엄연히 이름을 갖고 있는 꽃에게 '이름 모를 꽃'이란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무책임한 말인 줄은 잘 알지만 내 관심 밖이니 어쩔 수가 없었다. 아내가 가끔 이름을 불러줬지만 왼쪽 귀로 들어왔다가 오른쪽 귀로 새어 나갈 뿐이다. 그 꽃이 '있었던' 이유..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5.05.15
금강 하구-장항, 군산 일대 ▶ 답사 주제: 자연과학과 인문학 통합 답사-금강 하구의 지리· 역사·생태 답사 ▶ 답사일: 2015.5.9(토) ▶ 주요 답사지: 채만식 문학관, 군산항, 군산 근대역사문화거리, 금강하구둑, 금강하구 갯벌, 하늘 산책로(장항송림산림욕장), 장항 옥남리 갯벌 <장항 옥남리 갯벌에서 / S·N·G(..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답사&여행자료 2015.05.15
5월 태풍, 노을 2015 제 6호 태풍 노을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쳐서 많은 비가 내렸다. 5월 11일이니 태풍의 영향으로는 매우 빠른 것이다. 물론 전적으로 태풍 때문에 비가 내린 것은 아니었다. 기상청은 “ 대만 동쪽 해상에서 북상하는 제6호 태풍 ‘노을’과 서해상에서 발달하며 북동진하는 저기압에 ..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5.05.12
聖居山-성인이 사는 산 '聖居山', '성인이 사는 산'이라고 해석이 될 것 같다. 천주교 전래 이전부터 이렇게 불렸던 이 산에 천주교도들이 자리를 잡았다는 것은 우연치고는 참 재미있는 우연이다. 해발 579m의 이 산은 천안시 북면, 성거읍, 목천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칠현산에서 갈라진 금북 정맥이 첫번째 .. 천안,아산의 지리환경/산지(천안) 2015.05.03
흑성산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생겼을까? 원래는 검은성(儉銀城)이었는데 일제가 '검은'을 훈차하여 흑성산(黑城山)으로 바꿨다는 안내판이 흑성산 정상에 서 있다. 하지만 이것은 명백한 오류다. 흑성산이라는 지명은 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1454)에는 흑산(黑山)이라는 지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 천안,아산의 지리환경/산지(천안) 2015.05.03
대동여지도 천안/아산 일대 대동여지도의 특징인 산줄기와 분수계가 우리 지역 부분에서도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가장 큰 산줄기인 금북정맥이 뚜렷하게 표현이 되어 있으며 성거산 부근에서 갈라져 영인산에 이르는 지맥과 광덕산으로 갈라져 설화산(지도에는 雪峩山으로 표기됨), 태학산, 배방산으로 이..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구석구석 이것저것 2015.05.03
입상(粒狀)붕괴(granular disintegration) 화강암은 물과 반응하여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는 암석이다. 가수분해는 기존 광물이 물과 반응하여 안정성이 높은 새로운 2차 광물, 즉 점토광물로 변하는 현상이다. 규산염 광물을 많이 함유한 조암광물에서 특히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는데 화강암이 대표적이다. 규산염 광물 중 대표적.. 자연지리/풍화&침식 2015.05.02
90년대부터 강진 경고 나왔지만…날림 건물 많아 대참변 81년만의 최악 참사, 왜? 인도판-유라시아판 충돌…진원 11로 얕아 피해 커져 전문가 “카트만두시 전체가 남쪽으로 3m 이동” 미국서 “지진위험 심각” 보고서 나온지 한달 안돼 현실로 25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를 강타한 지진의 직접적 원인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이다. 인..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