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79

세계의 식생

식 생 쾨펜은 세계의 기후를 구분하는데 있어 식생을 중요한 지표로 삼았다. 강수나 기온이 달라지면 그곳에 자랄 수 있는 식물의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이었다. 지구상에 자라고 있는 수많은 식생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대략 기후와 관련하여 구분을 해보면 삼림, 사바나, 초원, 사막, 툰드라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식생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수와 기온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보통 최난월의 평균기온이 0°C를 넘지 못하는 곳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가 없다. 양극지방이 대표적인 예이다. 강수량 또한 쾨펜이 구분한 강수한계 이하가 되면 식물이 거의 자라지 못한다. 따라서 지구상에서 식생이 형성되지 못하는 지역은 양극지방과 사막지역이 된다. 이와같은 강수 및 기온 한계를 넘어서면 식생이 형성되게 ..

앙가라순상지

시원생대에 만들어진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땅덩어리들은 오랜 침식으로 평탄하며, 침식으로 지각 무게가 줄어들면서 천천히 융기하여 고원을 이루고 있다.  52°58'57.0"N 105°42'24.5"E www.google.co.kr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호수인 바이칼호는 순상지가 단층으로 갈라지면서 만들어진 호수이다.  아프리카순상지: 케냐 마사이마라Maasai Mara National Reserve · 케냐★★★★★ · 국립공원www.google.co.kr  시원생대에 만들어진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땅덩어리들은 오랜 침식으로 평탄하며 침식에 따른 지각무게 감소로 지속적으로lovegeo.tistory.com

세계의 대지형 & 산지와 평야지형

지 형 수륙 분포 ① 육반구 - 프랑스 르망 중심, 전 육지의 3/4 ② 수반구 - 뉴질랜드 남동부 엔티포디즈 제도 중심, 전 해양의 9/10 ③ 육지의 기복 가. 1차 기복 - 육지와 해양 나. 2차 기복 - 에베레스트(8848m) ↔ 마리아나해구 비티아즈해연(-11,034m) 다. 고도별 분포 - 200m 미만 및 1000이상(1/4) -평균고도 875m, 인간의 생활무대 500m 이하 지형의 형성과 변화 ① 내적 營力 - 융기, 침강, 습곡, 단층, 화산 등. 판구조와 관련 ② 외적 營力 - 풍화, 침식, 운반, 퇴적. 기후의 영향(하천, 빙하, 바람, 파랑 등) 안정 육괴와 조산대 ① 안정육괴(시원육지) - 선캄브리아기 이후 완만한 융기→저기복 고원 -楯狀地 &卓狀地 - 발트 순상지, 로렌시아 순..

자연지리/산지 2012.03.25

체르노젬(chernozem, 黑土)

스텝지역 중에서 강수가 비교적 많은 지역에서는 건조스텝에 비해 식생이 풍부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유기물의 양이 많다. 여기에 적절한 기온 조건이 갖춰지면 유기물의 분해가 잘 이루어진다. 강수량은 유기물을 용탈시킬 정도로 많지는 않기 때문에 유기물이 토양에 잘 집적되어 토양은 검은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토양을 체르노젬이라고 한다. 우크라이나에서 카자흐스탄에 이르는 스텝지역을 비롯하여 온대초원(Prairie)이 발달한 헝가리의 Puzta초원, 미국의 Prairie, 아르헨티나의 Pampas 등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