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리(oat) 주로 서늘한 온대에서 자라는 귀리는 맥류 가운데 기후 적응력이 강한 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관북지방에서 식량작물로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식용으로는 거의 재배되지 않으며 대부분 가축사료나 건초로 많이 활용된다. 사진은 2009년 10월25일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은지리에서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9
갑옷을 입은 호두나무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은 예로부터 호두가 유명한 곳으로 천안의 명물인 호두과자에 들어가는 원료가 생산되고 있다. 비교적 병충해에 강해서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없는 호두농사의 가장 큰 적은 병충해가 아니라 청설모이다. 호두가 익을 무렵이면 이 녀석들이 주인보다 먼저 호두를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9
보성 차밭 난대성 작물인 차는 겨울 기온이 0도를 넘어야만 자랄 수 있기 때문에 남해안이 주산지이다. 최근에는 가장 기후 조건이 좋은 제주도에 기업들이 진출하여 우리나라 차의 주 생산지로 부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성을 중심으로 하는 남해안지역이 전통적인 주산지이다. 평지가 아닌 산비..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9
호남평야 이모작 전주-군산 도로변의 벚꽃은 예로부터 봄철의 명물로 꼽혀왔다. 벚꽃은 '일본의 국화'라는 인식 때문에 우리 민족에게 미움의 대상이기도 하면서 일시에 흐드러지게 피는 특성으로 인하여 꽃놀이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2중성을 갖고 있다. 실제로 벚꽃은 은은한 색깔과 잎도 나오기 전에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9
딴산 숲을 농경지로 개간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남은 부분이 사진처럼 작은 동산으로 남아 있다. 태안반도나 호남평야 주변의 밭농사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사진처럼 논농사 지역에서도 가끔 찾아볼 수 있다. 하천의 중하류 지역 주변은 범람이 심해서 인공제방이 축조되기 이..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10.29
사라져 가는 밀밭 미국산 밀에 밀려 우리밀은 이 땅에서 자취를 감추었었다. 그나마 이런 호밀이 밀밭의 명맥을 유지해 왔지만 이 밀은 사실 식용이 아니라 가축 사료용으로 쓰이는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일부 뜻있는 사람들이 '우리밀 살리기 운동본부'를 만들어서 멸종하다시피 했던 우리밀의 씨앗을 찾..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9
고창 청보리밭 생활공간으로서 촌락의 비중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촌락의 경관과 기능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전통적 주곡작물 가운데 쌀을 제외한 작물들은 외국 농산물의 수입(밀, 옥수수, 콩 등)과 국내 소비의 감소(보리) 등으로 경제적 타산이 잘 맞지 않음으로써 생산량이 급격하게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10.29
예당저수지 예산군 대흥면과 신양면, 광시면에 걸쳐 있으며 저수면적 약 9.9 km2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둘레가 40 km에 이르고 최대 너비 2 km, 길이는 8 km에 이른다. 1929년 4월에 착공하여 해방 이후에 한동안 중단 되었다가 1946년부터 예당 수리조합의 주관으로 공사가..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10.27
담배 건조장 담배의 수입이 개방되면서 국내 잎담배 생산량이 매우 줄어들었다. 담배는 잎을 따서 말린 후 출하를 하는데 잎을 건조하는 방법이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직접 햇볕에 말리는 양건법이고 또 하나는 인위적으로 열을 가해서 말리는 화건법이다. 양건법을 활용하는 농가의 경관상 특징..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7
병충해 보다 무서운 야생 동물 그물이나 폐 현수막 등으로 둘레에 벽을 세워 놓은 밭을 흔히 볼 수 있다. 주로 산에 가까운 밭에서 볼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산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한 동안 사라지다시피 했던 강적이 다시 등장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숲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지만 남..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