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천 경기도 포천시내를 가로질러 북쪽으로 흐르는 한탄강의 지류로 구조선을 반영한 전형적인 직선상의 유로를 보여주고 있다. 이 하곡을 따라 소흘읍에서 포천시가지를 거쳐 신북면-영중면-관인면-철원군 갈말읍으로 이어지는 선상의 취락이 이어져 발달하고 있다.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감입곡류-평창강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남서부에서 발원하여 평창군 한복판을 가로질러 영월로 흘러가는 평창강. 정선쪽에서 내려오는 동강과 영월에서 만나 남한강으로 유입한다. 사진은 평창군과 영월군을 연결하는 82번 국도의 영월군 주천면 판운리 판운교에서 하류쪽(남쪽)으로 찍은 것이다. <지..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곡류 하천이 만든 한반도 모양의 지형 남한강 상류의 석회암 지역을 흐르는 평창강은 전형적인 산지곡류를 형성하고 있다. 심층풍화되지 않는 퇴적암 지역에 발달한 직각상의 구조선을 따라 발달하여 하도가 모두 굽이굽이 구부러졌을 뿐만 아니라, 신생대 3기에 일어난 융기로 매우 깊은 하곡을 형성하고 있다. 평창강은 특..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감입곡류와 하안단구-영월 강원도 영월군 서강의 감입곡류와 하안단구, 그리고 석회암. 이곳에서는 여러 층의 단구를 관찰할 수 있는데 아래 사진에서는 한 층 높은 단구면을 볼 수 있다(사진 왼쪽에 있는 다리의 오른쪽 산 중턱에 평탄면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것이 1차단구이다)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구하도(舊河道, Old river) 한강 하류에 발달한 하중도(河中島)인 여의도의 영등포쪽 구하도. 지금은 마포쪽의 하도가 본류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은 비가 많이 올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물이 흐르지 않는다. 사진은 여의교에서 상류쪽을 향하여 찍은 것이다.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제3계층-포항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땅이 고생대 캄브리아기 이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중생대나 신생대에 만들어진 땅은 많지 않은 편이다. 특히 신생대층은 그 분포가 아주 적다. 또한 고생대 중반 이후로는 대부분의 땅이 육지에서 만들어진 육성층이어서 신생대 해성층에서 발견되는 석유가 매장.. 자연지리/지질&암석 2012.08.16
사태(land slide) 토양층이 얕고 경사가 급한 사면은 강수량이 많을 경우 물이 토양층 바로 아래의 암반층에 막혀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에 빠르게 토양내 수분함량이 과포화 상태에 이른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력을 견디지 못한 표층이 일시에 흘러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사태(land slide)라고 한다.. 자연지리/풍화&침식 2012.08.16
낙동강의 발원지 황지못 강원도 태백시 황지못은 낙동강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강의 발원지를 하나로 꼽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지만 황지못은 낙동강의 최상류권에 있는 샘이 분명하므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주변산지에서 모여든 물이 계속 솟아나기 때문에 도심에 있으면서 ..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범람원 충남 청양군 청남면과 부여군 탄천면을 가르며 흐르는 금강 중하류 지역에 나타나는 범람원이다. 과거의 자연제방은 높은 인공제방으로 바뀌었고 그 후면의 배후습지는 논으로 개간되었다. 그러나 조선후기까지만 하여도 이러한 배후습지는 홍수의 위험 때문에 농경을 하는 것이 불가..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직소폭포-화산암 산지에 발달한 폭포 내변산의 명물 직소폭포. 폭포는 대부분 단층면에 형성되며 침식으로 서서히 후퇴를 거듭한다. 변산반도 일대는 지질구조가 매우 복잡한 지역으로 중생대 쥬라기 관입암(화강암, 섬록암, 반암, 반려암 등), 백악기 화산암(유문암, 응회암), 백악기 퇴적암(역암, 사암, 이암) 등으로 이루어.. 자연지리/지질&암석 2012.08.16
정방폭포 서귀포 일대는 지하의 불투수층인 응회암층이 제주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지표수가 흐르는 하천이 상대적으로 잘 발달한다. 또한 단층작용이 활발하였고 주상절리가 발달하여 이 일대에는 많은 폭포가 형성되어 있는데 정방폭포를 비롯하여 천지연, 천제연 등이 ..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2.08.16
벳푸의 우미지코쿠(海地獄) '지코쿠(地獄)'란 우리말로는 '지옥'으로 읽히는 일본의 노천온천을 말한다. 판과 판의 충돌대에 해당하는 일본에는 이런 지코쿠들이 많이 발달한다. 지금은 관광자원으로 개발되어 많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옛날에는 농사가 불가능한 '지옥'이었음이 분명하다. 뱃푸의 여러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08.16
차오프라야강변의 취락 타일랜드의 수도 방콕 시내를 흐르는 챠오프라야강은 길이가 1,200km에 달하는 이 나라 최대의 강이다. 강수의 계절차가 크지만 유역이 넓고 지류가 발달하기 때문에 하천의 수위는 우리나라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다. 따라서 내륙수로로서 활용도가 높으며 홍수의 위험이 우리나라에 비해..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2.08.16
금오산 향일암의 화산암 둘째 날 돌산도 향일암과 금오산에 다녀왔습니다. 2편에는 이런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요람같이 포근한 해상 팬션 -아쉬울 때 떠나자 -처음 간 곳을 그냥 지나쳐 오다니… -차량출입통제 지역을 들어가는 차량은 누구의 것일까? -입장권을 파는 사람이 되다 -동전을 높은 곳에 올려 놓을..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대경도&향일암 2012.08.15
안성답사 2012년 7월 전교조설화고등학교분회 정기답사 자료입니다. 안성은 천안과 인접한 도시지만 의외로 교류는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천안시민들이 안성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지 못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어떤 지역이든 가 보면 가기 전에..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답사&여행자료 2012.08.14
“외교적 관점서 냉정함 잃은 MB…되레 ‘분쟁지역’ 만들어” 이명박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국내외가 시끄럽다. 대통령은 개인이 아니고 국가를 대표하기 때문이다. 즉, 대통령의 움직임은 즉흥적 돌출행동이 아니라 치밀한 계산에서 나온 국가 정책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전문가들의 판단은 그렇지 않다. 임기말 레임덕이 달갑지 않은 대통령이 ..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2.08.13
열무잎을 쌈으로-광주 광주 금남로에서 만난 열무쌈. 열무 잎을 쌈으로 먹는 것이 특이하다. 약간 매콤한 것이 나름대로 독특한 맛이 난다. 소주의 지역 할당 제도는 폐지되었지만 여전히 지역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높은 소주가 존재한다. 호남지역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소주는 바로 이 술이다. 소주 맛..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8.12
돌산 게장백반 전남 여수 돌산도 끝에 있는 향일암 아래 식당에서 게장백반을 먹었다. 서해안 일대에서는 보통 게장을 꽃게로 담그는데 이곳의 게장은 돌게(일명 바카지)로 담갔다. 꽃게는 크기도 크고 맛이 좋기 때문에 꽃게장은 값이 비싼데 비해 돌게장은 값이 싼 장점이 있다. 하긴, 만원이니 아주 ..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8.09
바다 위에 떠 있는 팬션 여름 방학이 무려(?) 12일, 그나마도 더운 날씨 덕에 3일을 연기하는 바람에 늘어난 것이 이번 여름 방학이었습니다. 짧은 시간을 어떻게 이용할까 하다가 짧은 가족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올 여름 그 유명한 여수, 하지만 그 유명한 엑스포는 안 다녀 왔습니다. 1편에는 이런 내용이 들어 ..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대경도&향일암 2012.08.09
송전탑 전기는 오늘날 없어서는 안되는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멀리서 보면 예사롭게 보이지만 가까이 가서 보면 송전탑 하나도 예사롭지가 않다. 수십미터에 이르는 송전탑 하나를 세우는 일도 만만치 않은 일이겠지만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프라가 필요하다. 송전탑이 설치되..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
외연도의 태양 에너지 활용 전기 공급이 어려운 섬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전기를 조달하고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충청남도 보령시 가장 외곽에 있는 섬인 외연도 역시 전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나름대로 보완책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많은 주택들이 태양열을 활..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
대관령 풍력발전 대관령은 태백산맥의 준령 가운데 지형적으로 바람이 수렴하는 '바람의 골'이다. 연중 강한 바람이 불며, 특히 서풍계열의 바람이 강한 곳이다. 이러한 조건은 풍력발전에 유리한 조건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지나 도서지역은 지형적 장벽이 적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다. 그러나 산지..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
소양강댐 국내 최대의 사력댐인 소양강댐의 발전시설. 여름철 홍수로 흙탕물이 생겨서 방류하는 물이 흙탕물이다. 수심이 깊고 물이 차갑기 때문에 대류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아 호수의 표면은 맑지만 수면의 아래쪽은 이런 흙탕물 상태이다. 댐에서 취수한 물은 사진의 오른쪽 물탱크(둥근 구조..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
주암조절지댐(상사댐) 섬진강의 지류인 보성강을 막아 만든 주암댐은 전라남도 화순군, 보성군, 순천시에 걸쳐있다. 사진의 상사댐은 공식명칭이 주암조절지댐으로 순천시를 거쳐 순천만으로 유입하는 이사천을 막아서 만든 것이다. 보성강수계와 이사천 수계 사이에는 조계산(884m)이 분수계로 가로놓여 있는..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
석회석 광산 석회암은 해저에서 만들어지는 암석으로 산호나 패류 등의 생물적 원인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적당한 온도 조건으로 해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와 칼슘이온이 분리, 결정화 되면서 퇴적되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석회암은 해성층이 발달하는 지역에는 흔하게 나타나는 암..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