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 않은 길은 아쉽다 ▶ 언제: 2012년 12월13일 ▶ 누구와: 강대석, 이해원, 임병조 ▶ 답사경로: 곡두재 주차장(14:20)-곡두재(14:32)-553봉(15:25)-630봉(15:50)-휴식-646봉(16:24)-갈재 갈림길-태화산(16:29)-갈재 갈림길(16:35)-갈재(17:04)-광덕사 앞(18:05) ▶ 총 이동 거리: 약 5.6km ▶ 답사 시간: 3시간 45분 ▶ 내용 - 가지 않은 길.. 금북정맥/곡두재~각흘고개 2012.12.15
갈재~임도~해사동~광덕사 주차장 <각흘고개~곡두재 구간 고도> <실제 답사 경로의 해발고도> <바람골과 나무들의 무덤, 14:54> <임도에서 바라본 갈재길(618번 지방도), 15:08)> <절개지에 드러난 편마암 풍화층, 15:08> <임도에서 만난 雪丘, 15:36> <임도 동쪽 산지와 금북정맥(사진의 오른쪽, 차령~곡.. 금북정맥/곡두재~각흘고개 2012.12.10
각흘고개-갈재 ▶ 언제: 2012년 12월8일 ▶ 누구와: 월광 ▶ 내용 <전체 경로 GPS자료 *위성영상:Google(편집)> 12:40 각흘고개 출발-301.2봉(삼각점 & 5-1표지목)-송전탑 갈림길(13:18) <송전탑 갈림길, 13:18> <송전탑과 헬기장 중간에서 만난 편마암 암괴, 13:22> <434봉-헬기 이착륙장, 13:31> <402봉 : 05.. 금북정맥/곡두재~각흘고개 2012.12.10
[스크랩] 태안, 끝나지 않은 `재앙`‥늘어만 가는 `시름` 태안, 끝나지 않은 `재앙`‥늘어만 가는 `시름` http://media.daum.net/v/20121209071811387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2.12.09
하코네(箱根)신사의 토리이 신성한 장소의 입구를 나타내는 토리이(鳥居)는 우리나라의 홍살문과 비슷한 위치와 기능을 한다. 홍살문이 주로 사당같은 위인을 추모하는 공간의 입구에 세워진다면 토리이는 주로 신사의 입구에 세워진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문화적 관련성을 느낄 수 있는 경관 가운데 하나이다. 삼..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12.06
살아있는 일제의 유산 일제의 식민지 침탈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도시인 군산에는 아직까지도 많은 식민지 유산이 남아있다. 우리 민족의 일제에 대한 감정은 남다른 데가 있어서 그동안은 일제유산을 일제잔재의 청산이라는 측면에서 정리하기에 바빴던 것 같다. 그것이 우리의 의도와 무관하게 만들어진 것..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12.06
아시아는 힌두 문화권이다 힌두교는 힌두족의 민족종교로 인디아, 스리랑카, 네팔 등 남부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그러나 힌두문화는 남부아시아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 걸쳐 나타난다. 남부아시아 이외의 지역에 힌두교가 분포하는 지역은 거의 없지만 과거 유적으로 남아있거나 불교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 인도네시아에 남아있는 힌두교 전세계에서 가장 이슬람교도가 많은 나라인 인도네시아, 그 나라 이름에 힌두교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인도'가 들어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인도네시아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쓰인 것은 19세기로 역사적 연원은 짧다. 하지만 이름에는 역사와 환경이 들어있기 마련이다. 영국이 식민통치를 했던 19세기에 영국인들이 인도네시아란 이름을 처음으로 붙였는데 이 이름은 'India'의 'Indo'와 섬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 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2012.12.06
굴포운하 터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운하로 연결하여 삼남의 세곡 운송을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시도가 고려시대 이후 여러차례 있었다. 태안반도 외곽의 서해안은 외해로 돌출되어 있어 풍랑이 심하고 더욱이 왜구의 출몰이 잦아서 약탈을 당하는 일이 많았다. 이에 조정에서는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12.06
여수 굴찜 교통,통신이 발달하고 지역 간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지역 간의 차별성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지역 간의 차별성은 존재한다. 과거에 비해 차별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줄어드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많지만 사실은 외적 변화에 대한 반응이 동일하지는..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12.06
북한 희토류 매장량, 알고보니 세계 2위 엄청난 희토류 북에 묻혀있다 북한 합영투자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북한에 세계 2위 매장량의 희토류가 있다. 광석 1t당 희토류 함유량 역시 매우 높다. 그러나 많은 양이 개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비교적 최근 북한 측이 정리한 희토류 관련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희토류 매장량 규..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