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구멍집 지붕의 양쪽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까치구멍집이라고 이름이 붙은 경북 안동지역의 가옥이다. 구멍으로 비라도 새어 들면 어쩌나 걱정이 된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안쪽에 또 지붕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집을 '겹집'이라고 한다. 집이 전체적으로 두겹으로 되어 있는 것..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14
제주 은갈치조림 은갈치는 제주 근해에서 잡히는 대표적인 제주 특산어종이다. 난류성 어족이기 때문에 수온이 높은 제주 남쪽에서 많이 어획이 되었으나 최근 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여 어획고가 감소하고 있다. 어획고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여 은(銀)갈치가 아니라 금(金)갈치, 심지어는 다이아..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9.07
사과밭에도 동해(凍害)가? <충남 예산군 응봉면 증곡리> 난대성 작물인 차는 겨울철에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동해(凍害)를 입어 나무가 죽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기온 역전이 일어나면 장시간 동안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동해를 입기가 쉽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차밭에 바람개비를 설치하여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9.02
인천항의 갑문식 도크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수심이 얕은 서해안에는 항구가 발달하기 어렵다. 그래서 대형 선박이 접안을 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항구 시설을 해야만 한다. '뜬다리 부두'나 '갑문식 부두'가 그것인데, 서해안 최대의 항구인 인천항은 갑문을 이용하고 있다. 항구의 외곽을 막아서 밀물과 썰물..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08.30
뜬다리 부두(浮橋) 조차가 큰 서해안에 항구 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시설이 필요하다. 많이 활용되는 시설이 뜬다리이다. 부두가 물에 뜨도록 설치되어 있어 바닷물의 높이와 관계없이 배가 항상 일정한 높이로 접안을 할 수가 있다. 부두와 육지를 연결하는 다리가 있어 사람과 물자가 왕래할 수 있..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08.30
파타야의 전갈 튀김 Thailand의 파타야 거리에서 만난 다양한 종류의 튀김. 그 유명한 전갈, 바퀴벌레 처럼 생긴 곤충, 번데기, 개구리 등등 못 먹는 것이 없다. 우리나라에 없기 때문에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음식은 지역의 인문적, 자연적 환경을 반영한 문화이다. 우리나라도 메뚜기, 방아깨비, 물방개 같..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8.26
성거 포도 상징물 지역마다 지역을 상징하는 아이콘을 만드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상징물은 역사적인 것에서 부터 특산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정체성이 지역 상품화의 기본적인 전제조건이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잘 만들어진 아이콘은 지역의 특징을 잘 부각시키고 나아..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2.08.26
벳푸의 우미지코쿠(海地獄) '지코쿠(地獄)'란 우리말로는 '지옥'으로 읽히는 일본의 노천온천을 말한다. 판과 판의 충돌대에 해당하는 일본에는 이런 지코쿠들이 많이 발달한다. 지금은 관광자원으로 개발되어 많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옛날에는 농사가 불가능한 '지옥'이었음이 분명하다. 뱃푸의 여러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08.16
열무잎을 쌈으로-광주 광주 금남로에서 만난 열무쌈. 열무 잎을 쌈으로 먹는 것이 특이하다. 약간 매콤한 것이 나름대로 독특한 맛이 난다. 소주의 지역 할당 제도는 폐지되었지만 여전히 지역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높은 소주가 존재한다. 호남지역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소주는 바로 이 술이다. 소주 맛..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8.12
돌산 게장백반 전남 여수 돌산도 끝에 있는 향일암 아래 식당에서 게장백반을 먹었다. 서해안 일대에서는 보통 게장을 꽃게로 담그는데 이곳의 게장은 돌게(일명 바카지)로 담갔다. 꽃게는 크기도 크고 맛이 좋기 때문에 꽃게장은 값이 비싼데 비해 돌게장은 값이 싼 장점이 있다. 하긴, 만원이니 아주 ..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