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리 백반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의 백반> 광덕산 기슭에 자리를 잡은 외암리는 예안이씨 종족촌락이다. 바다와의 거리도 그다지 멀지는 않지만 전통시대의 거리 개념으로 본다면 내륙지역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외암리의 음식은 전형적인 충청도 내륙지역의 음식이다. 된장찌개를.. 인문지리/음식문화 2012.07.15
한성 주산(主山)에서 바라본 주작대로 조선의 도읍이었던 한성부는 북한산을 주산으로 백호 인왕산과 청룡 수락산을 좌우로 거느린 풍수상의 명당에 자리를 잡았다. 주산인 북악산의 남쪽에 본궁인 경복궁이 자리를 잡았으며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 조선의 정부기관인 육조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육조거리(주작대..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07.08
안성목장 우리나라의 유명한 목장들을 이야기 할 때면 언제나 그 앞에 '이국적' 이라는 수식어를 붙인다. 목장이 우리에겐 아직도 낯선 장소이기 때문일 것이다. 쌀, 보리 등 주곡작물 중심의 농업이 발달한 것이 우리나라의 특징이다. 여름이 덥고 비가 많이 내려 곡물의 재배에 유리하기 때문에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7.07
안동댐 안동댐은 낙동강 수계의 가장 상류에 위치한 댐이다. 1976에 완공된 사력(砂礫)댐으로 총 저수량은 12억 5천만톤이다(Cf: 국내 저수량 최대의 댐은 소양강댐으로 약 29억톤이다.) 댐의 높이는 83m, 길이는 612m이며 유역면적 1,584km2로 안동시 와룡면, 도산면, 예안면, 임동면에 걸쳐있다. 댐식 발..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2.07.07
몽골 울란바타르의 도시화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는 2011년 현재 인구가 약 110만 명에 이르는 몽골 최대의 도시이다. 국제적 기준으로 본다면 백 만 명의 인구는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없지만 몽골의 전체 인구가 300만 명 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인구 집중도가 엄청난 도시임을 알 수 있다. 전체 인구의 1/3 정도가 수..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4.15
중국 둥베이(東北)의 옥수수 중국 둥베이(東北)지역은 전통적으로 옥수수와 콩을 많이 재배하는 지역이다. 냉대기후지역으로 1월 평균 기온이 -10˚C 이하이며 강수량도 적기 때문에 기후 적응력이 강한 잡곡류를 많이 생산하는 지역이 되었다. 옥수수와 콩은 기후적응력이 강한 대표적인 작물이다. 옥수수는 생육기..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4.12
몬순 아시아의 벼농사 2008년 1월11일부터 1월13일 까지 3일 동안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찍은 논농사 경관이다. 불과 3일 동안 찍은 사진이지만 벼농사의 전과정을 모두 찍을 수 있었다. 지형이나 기후 등 자연적 조건과의 논리적 관련성을 찾기는 어려웠고 대체로 마을 단위로 각기 다른 농업 과정을 보여준다. 벼..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4.08
Taiga지역의 나무집과 시설물 전통가옥의 재료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침엽수를 중심으로 숲이 우거져 있는 타이가기후 지역에서는 나무가 가장 흔한 재료이기 때문에 가옥의 재료로 나무가 널리 이용된다. 가옥 뿐만 아니라 나무로 만든 다양한 시설물들을 볼 수 있다. 침..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3.25
건조 유목(遊牧, Nomadic ranching) <몽골 북부 스텝지역의 유목 - 물이 풍부한 하천 주변에서는 소가 사육된다> 건조지역은 인간 거주의 한계지역이다. 강수가 부족하여 농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열대습윤지역보다 풍토병이나 기생충 등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가 적기 때문에 오히려 유리한 점도 있지만 인간의 삶..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3.24
게르-몽골 유목민 가옥 <보통규모의 게르> <설치 중인 게르> <게르 내부> 이동이 잦은 유목민의 가옥은 설치와 철거가 편리해야 한다. 전통적인 유목 국가인 몽골에는 옛날부터 게르라고 하는 천막 가옥이 발달하였다. 나무와 천으로 만드는 이 가옥은 설치와 철거가 아주 쉬운데 숙련된 사람은 빠..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