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코이델타 - 몬순 아시아의 벼농사 송코이강(베트남에서는 홍강(Song Hong)이라 부르는데 어떤 원인으로 송코이란 이름이 붙었는지 알 수가 없다) 하류의 델타는 하노이에서 동중국해에 이르는 길이 약 100Km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발달하고 있다. 중국 윈난성에서 발원하여 북베트남(통킹)의 거의 모든 지역을 아우르는 이 강은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9.25
아산온천 - 관광촌락 아산시 음봉면 신수리 아산온천은 온천 개발과 함께 관광지로 성장한 관광기능의 촌락이다. 도시적 기능인 음식, 숙박업 등이 발달하지만 마을의 규모는 촌락규모이다. 온천은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발달하기 어려운 자연환경이기 때문에 관광촌락을 발달시킬 수 있는 충분한 조건..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25
곰소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와 고창군 사이에 위치한 줄포만은 한 때 굴비잡이와 소금으로 번성했던 어촌이었다. 지금은 토사가 쌓여 항구로서의 기능을 거의 상실하였기 때문에 주로 젓갈 생산을 하는 어촌으로 변화하였다. 줄포만 가장 안쪽의 줄포가 항구의 기능을 잃으면서 곰소가 그..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2.09.24
산수유 마을 : 전남 구례군 산동면 위안리 전남 구례군 산동면 위안리는 지리산 중턱 해발 700m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노고단에서 동북쪽으로 6km정도 떨어져 있으며 서남쪽으로 발달한 하천을 제외하고는 산으로 막혀있는 전형적인 산간곡지 마을이다. 대개 이런 마을들은 조선시대 전란을 피해 입향한 경우가 많은데 지형적으로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2.09.24
산지촌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 전북 남원시 산내면 중황리는 지리산지 북부에 자리 잡은 산간분지에 자리를 잡은 산지촌락이다. 이 분지는 남쪽 지리산 자락의 삼정산(1,182m)을 필두로 바래봉(1,167m)-덕두산(1,150m)-삼봉산(1186.7m)-백운산(902.7m)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분지의 한가운데로는 람천이 흐르고 있..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24
산지촌(山地村) : 경남 함양군 산지촌은 농촌이나 어촌에 비해 직업 구성이 다양한 특징이 있다. 지형적으로 경사가 급하고 평지가 없기 때문에 농업에 불리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농업 외에도 임업, 목축업, 약초재배 같은 산업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인구부양력이 낮기 때문에 마을의 규모..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24
제주도 용천과 용천마을 오랜 화산활동으로 제주도가 해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기 전에는 해저의 대륙붕 상에서 오랜 세월 동안 화산활동이 있었다. 그 시기는 대략 180만 년 전 이후로 이때 형성된 응회암 퇴적층이 제주도 전역의 지하에 분포한다. 이를 서귀포층이라고 하는데 이 층은 다공성이며 절리가 발달..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20
제주 돗통시 돼지와 개의 공통점은? 잡식성, 사람과 가장 가깝다, ‘똥’ 字가 들어가도 어울린다(?) ‘똥개’는 아주 귀에 익은 이름이다. 하지만 ‘똥돼지’는 육지에서는 들을 수 없는 이름이다. 하지만 제주도에서는 흔히 들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인분은 돼지에게 가장 ‘영양가 높은 ..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2.09.18
사하촌(寺下村) : 선운사 유명한 사찰은 모두 관광지로 유명하다. 따라서 사찰 주변에는 관광객들에게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 들어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사찰과 관련하여 형성된 마을을 사하촌이라 한다. 과거에는 주로 사찰 소유의 토지를 소작하는 농업 기능의 마을이었지만 오늘날..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16
어촌경관:소매물도 어촌은 바다로 접근하기 쉬운 항구 주변에 발달한다. 우리나라에 일반적인 형태인 반농반어(半農半漁)촌 역시 바다로의 접근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 입지를 보인다. 그런데 대부분 항구 주변은 경사가 급해 가옥과 촌락의 입지로는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항구는 일정한..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