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Horn, 尖峰) 빙하가 출발하는 산의 정상 부분은 주변에 여러 개의 카르(kar)가 형성되면서 침식을 당해 뾰족한 모양으로 발달한다. 이러한 첨봉(尖峰)을 혼(horn)이라고 한다. 알프스의 첨봉들을 프랑스에서 '혼(horn)'으로 부른 것이 그 어원으로 유명한 예로 마테혼(matterhorn)이 있다. 사진은 아르헨티나 ..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1
빙하 침식과 퇴석 빙하 침식은 빙하의 밑바닥과 옆부분 등 전방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침식 물질들은 빙하의 말단부에 퇴적되어 빙퇴적 지형을 형성하는데 모레인(moraine)이나 케임(kame)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모레인은 퇴적되는 위치에 따라 빙하의 옆 부분에 퇴적되는 측퇴석과 바닥에 퇴적되는 저퇴..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1
명당이란?-가야산 남연군묘 명당의 대명사로 알려진 남연군묘. 충남 예산, 서산의 경계를 이루는 가야산의 동쪽 기슭에 자리를 잡고있다. '2대천자지지(二代天子之地)라는 지관의 말에 따라 대원군이 그의 부친 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그의 아들이 대한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니 단순하게 생각하면 맞는 말인 듯 하지만 결국 그 후손에 이르러 조선왕조가 멸망하고 일제에 나라를 넘겨주었으니 과연 '명당'이 맞는 것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 개인적으로는 천자의 지위를 누렸으나 나라는 망했으니 이건 아무래도 명당이 아니다. 침몰해가는 배에서 선장 노릇을 하는 것도 출세라고 한다면 맞는 말이지만. 도참적인 음택풍수가 유행하던 조선후기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장소이다. 풍수가 가문과 개인의 영달을 위한 장소인식체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성..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3.04.10
화강암 산지와 편마암 산지의 하식곡 편마암산지는 풍화속성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선 부분을 따라 침식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좁은 협곡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풍화속성이 강한 화강암산지는 하천에 의해 풍화물이 넓게 개석되어 계곡이 넓고 사면이 완만하게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 사진은 광덕산의 천.. 자연지리/산지 2013.04.10
곡빙하와 U자곡의 형성 물은 미세한 경사만 있어도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홍수가 나지 않는 이상 하곡을 가득 채우고 흐르는 일이 거의 없다. 즉, 하곡의 수량은 강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며 평상시에는 그 수량이 많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하천의 침식능력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0
찰흔(擦痕, rub pattern) 빙하는 엄청난 무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때 바닥이나 옆 면의 암석에 뚜렷한 마찰의 흔적을 남긴다. 이를 찰흔이라고 하는데 빙하의 이동 방향으로 긁힌 자욱을 확인할 수 있다. <페루 쿠스코 삭사이와망의 찰흔> <아르헨티나 모레노 빙하 주변의 찰흔>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0
기생화산(parasitic volcano) 오름은 주화산인 한라산의 분화 이후 제주 곳곳에서 지하의 용암이나 스코리아, 가스, 화산쇄설물 등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소화산(小火山)이다. 학술용어로 기생화산이라고 하며, 독립된 산이나 봉우리를 뜻하는 오름이라는 아름다운 제주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멀리서 바라보면..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응회구(tuff cone): 성산일출봉 제주도의 동쪽 끝인 성산에서 일출을 가장 잘 감상할 수 있는 곳인 일출봉은 제주10경 중 단연 제1로 꼽힌다. 정상의 거대한 분화구는 마치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바다로 옮겨 놓은 듯하다. 하지만 바다에 우뚝 선 성산 일출봉은 도내 360개에 이르는 새끼(기생)화산의 하나다. 그러나 유..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산굼부리-피트분화구(pit crater) 산 정상이 아니라 평지에 있는 제주도 유일의 분화구로 산굼부리는 ‘산에 생긴 구멍(굼)’이란 뜻의 제주도 방언이다. 전체적으로 큰 대접모양을 하고 있다. 낮은 구릉을 이루고 있는 산굼부리는 주차장에서 제일 높은 곳까지의 높이 차이가 31m이며, 정상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132m로 ..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지중해성 기후의 여름 강수 여름철에 아열대고압대의 영향을 받는 지중해성기후지역은 여름철에 비가 내리지 않고 기온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초본류의 생육에 제한이 크기 때문에 여름철에 풀이 뒤덮여 있는 초지를 보기 어려운 곳이 많다. 비가 잘 내리지 않지만 갑자기 비가 쏟아지면 사진처럼 흙탕물이 쏟아.. 자연지리/기후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