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피랑 마을 통영항을 바라보는 산기슭에 자리잡은 동피랑마을은 마을을 문화공간화 함으로써 철거의 위기를 돌파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피랑'은 동쪽에 있는 비랑(비탈의 지역 사투리)이라는 의미이다. 통영시 정량동, 태평동 일대의 산비탈 마을로 서민들의 오랜 삶터이다. 언덕마을에서 바라..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3.07.05
제주도의 상징은? 제주도의 상징은 무엇일까? 제주도는 자연적, 인문적, 사회적 자원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고 지금은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전하였다. 다양한 관광자원은 오히려 가장 대표적인 상징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이유가 될 수도 있다. 제주도의 이이콘은 무엇이 적..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3.07.04
대하 마을-홍성군 서부면 대하와 새조개로 유명한 홍성군 서부면은 선착장의 가로등을 대하 모양으로 만들었다. 천수만 너머로 안면도가 보인다.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3.07.04
서해안의 일출 마을-마량포 해돋이 마을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 마량포는 해돋이 마을로 유명해졌다. 해돋이를 볼 수 없는 서해안에서 당진의 왜목마을과 함께 해돋이를 볼 수 있는 장소로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작은 포구였던 이곳에 많은 관광 기능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서해쪽으로 돌출된 반도이기 때문에 해돋이를 볼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3.07.04
순천만 살아있는 갯벌 순천만이 이젠 완벽한 생태관광자원으로 자리를 잡았다. 갯벌의 상당부분이 일제강점기 이후로 간척되어 논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그 밖으로 새로운 갯벌이 형성되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되었다. 사진의 앞쪽이 간척지이고 사진을 찍은 곳은 망원경으로 철새를 조망하는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3.07.04
日 방사성 물질 북서·남쪽에 오염 집중 도쿄大, 토양오염 지도 공개… 채소 1㎏당 2000㏃ 땐 위험 사고 당시 원전에서는 세슘 134, 137과 방사성 요오드 131이 주로 새어 나왔는데 자연 상태에는 존재하지 않고 핵분열을 할 때만 나오는 이 물질은 적은 양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서울신문, 2013.7.4> ☞ 클..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3.07.04
불당천/장재천 답사(4) ▶ 답사 경로: 노태산 남쪽(백석 아이파크아파트 뒷편)-환서초등학교 앞-백석 아이파크 2차 신축현장 뒷편-천안옛날호두과자 뒷편-백석로 횡단-(구)백석동파출소 옆-유관순체육관 앞-종합운동장 앞-불당동 상업지구-천안신도시개발지구-불당초등학교 앞-불당중학교 앞-불당천 자전거도로.. 천안,아산의 지리환경/하천(천안) 2013.07.03
왜 지리를 공부하는 것일까? ▶ 왜 지리를 공부하는 것일까? 나는 버스를 타게 되면 언제나 앞자리를 차지하려고 애를 쓴다. 앞자리는 시야가 넓고 양쪽을 모두 볼 수 있지만 앞자리 이외의 자리는 휙휙 지나가는 장면을 순간적으로 볼 수밖에 없고 그나마 한쪽 밖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직접 운전을 하면서 여행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 중에 자꾸 한 눈을 팔게 된다. 덕분에 옆자리에 앉은 아내에게 불안감과 함께 꽤 많은 지청구를 듣곤 한다. 그렇지만 가끔씩은 칭찬(?)을 듣기도 한다. 지리적 사실에 대하여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내 이야기를 들으면서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소리를 듣기도 하는 것이다. 지리를 공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이점이라면 이점인 셈이다. 그렇다면 지리를 공부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아내의 칭찬을 듣는.. 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2013.06.26
"장구때미 뭇치겄네!"-세계화의 빛과 그림자 ▶ 허무하게 무너진 기대-장구때미 뭇치겄네! 대학에 다니던 시절이었다. 친구 아버님 환갑잔치에 간 적이 있었다. 그 나이에는 대부분 그랬겠지만 껀 수 만난 건달패와 다를 바 없는 우리들은 개떼처럼 친구 집으로 몰려가서는 주변머리가 없어 잔치에 별 도움도 못주고 술만 축내고 있.. 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2013.06.24
2013-06-23(광덕사-장군바위-광덕사) <경로 *원도: Google> <남향의 묘지> 광덕산 줄기는 전체적으로 북동-남서, 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사면의 방향이 북서향과 남동향이다. 남동사면 중에서도 좀 더 정남향에 가깝게 발달한 능선에는 이런 묘지가 자리를 잡고 있다. 남남동 사면에 자리를 잡은 ..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