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의 랜드마크 66층, 239m, 천안 시내 주변에 있는 어떤 산보다 높은 이곳은? 봉서산이 151m, 월봉산이 133m, 그리고 일봉산도 130m를 겨우 넘는 것에 비하면 굉장한 높이이다. 게다가 건축물이 자리를 잡은 곳의 해발고도가 대략 40m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맨 꼭대기의 해발고도는 280여m에 이른다는 얘기가 된..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구석구석 이것저것 2013.10.06
LNG선 육상 건조 성공-현대삼호중 세계 최초 3만 4천t 세계 최대 중량물 들어 올려 이동…기네스북 기록 갱신 <세계 최초로 LNG선 육상(陸上) 건조 성공을 자축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2013.10.5. 연합뉴스> 육상건조장의 레일 위로 유압식 이동장치를 이용, 선박을 통째로 들어 올려 플로팅 독까지 350m가량 이동시켰다. 마치 작은 ..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3.10.05
두 번째 이야기: 쓰다오-웨이하이-옌타이-웨이팡 ◆ 둘째 날 : 2013.8.8(목) ▶ 여정 : 쓰다오항-웨이하이시-점심식사-리우공다오-옌타이항-저녁식사-웨이팡(2박) <둘째 날 여정 *원도:Google earth> ▶ 첫인상이 친숙한 쓰다오(石島) 여명과 함께 다가오는 쓰다오항은 짙은 안개에 덮여서 잘 보이지 않는다. 날씨만 좋다면 바다위로 떠오르는 ..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중국 산둥(장보고 유적지 답사) 2013.10.03
첫번째 이야기: 인천항에서 서해바다까지 ▶ 답사 일: 2013년 8월 7일(수)~8월 12일(월) ▶ 답사 지역: 중국 산둥성 일대 ▶ 답사 주제: 장보고 유적지 답사(한국해양재단 주관) ▶ 답사 경로 <일정 *원도:Bing Map> -첫째 날(8월 7일, 수): 인천항-선내 숙박(후아동훼리, 1박) -둘째 날(8월 8일, 목): 쓰다오(石島)항-웨이하이(威海, 점심식사.. 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중국 산둥(장보고 유적지 답사) 2013.10.03
광덕사 앞 사하촌(寺下村) 광덕산 남쪽에 자리잡은 광덕사는 규모가 그다지 큰 절은 아니다. 절을 찾아오는 관광객보다는 광덕산을 찾아온 등산객이 더 많은 곳이 이곳이다. 어쨌든 이곳에는 관광객과 등산객을 상대로 하는 상업이 발달하고 있다. 주로 음식점이 대부분인데 관광객보다는 등산객이 더 많은 특징.. 천안,아산의 지리환경/광덕산 2013.09.28
살아있는 일제의 유산 2 내 고향 마을 앞에는 '말무덤'이라는 작은 동산이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사 홍가신의 애마가 묻힌 자리라고 들으며 자랐다. 조선 선조 때 홍주목사를 지낸 홍가신은 충청도 홍산에서 난을 일으켰던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청난공신 1등으로 책록된 인물이다. 논 한 가운데 ..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3.09.28
이름 짓기의 위력-내포 오랫 동안 잊힌 이름이었던 내포(內浦)가 마침내 당당하게 부활의 신호탄을 올렸다. 2012년 충청남도청이 공식 이전을 함으로써 '내포시' 설치를 위한 큰 발을 내디뎠다. 앞으로 예정대로 기관 및 시설들이 이전을 하거나 새로 만들어지면 내포는 인구 10만의 쾌적한 도시가 될 것이다. 내..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3.09.28
한국 하천의 특징, 강터 ▣ 강터, 우리나라 하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공간 여름철과 겨울철의 강수량 차이가 큰 우리나라 하천은 넓은 강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상계수(갈수시 유량 대비 홍수시 유량)가 매우 크기 때문에 여름철 홍수에 대비하여 여유 공간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큰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방의 안쪽에 넓은 완충지대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이런 지형은 전세계 어떤 나라에도 잘 발달하지 않는데 그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 집중도가 높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런데 하천과 제방 사이에 있는 공간을 부르는 이름으로 언제부터인가 '고수부지(高水敷地)'라는 말이 쓰여 왔는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하천의 수위 보다 높은 곳에 있는 빈 땅'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말은 어원이.. 자연지리/하천과 평야 2013.09.28
죽엽청주(竹葉靑酒) 중국 술의 대명사는 고량주이다. 고량(膏粱)은 수수의 일종으로 주로 화북이나 둥베이 일대에서 많이 생산된다. 그러나 기후 적응력이 강한 작물이기 때문에 중국의 중남부 어디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어서 중국의 대표적인 술의 원료가 되었다. 그런데 중국은 땅이 넓고 다양한 민족이.. 인문지리/음식문화 2013.09.28
화강암 풍화층 중생대 쥐라기에 대규모 관입으로 만들어진 화강암층인 대보화강암층이 가장 큰 규모로 발달한 곳은 한반도의 중부지역으로 강원도 오대산 일대에서 충남 태안에 이르는 지역이다. 화강암 지역에는 산지와 평야가 함께 분포하는데 충남의 서부지역이 대표적이다. 무한천과 삽교천 등의.. 자연지리/지질&암석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