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공포: 석촌지하차도 '80m동공'..그 많은 흙 어디로 갔나 서울 석촌지하차도 지하에서 길이가 80m에 이르는 거대 동공(洞空. 빈 공간)이 발견된 가운데 문제의 공간을 메우고 있었던 흙이 어디로 사라졌는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동공은 크기가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로 엄청난 양의 흙이 감쪽같이 사라져버린 상태다. 서울시가 11명의 전..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4.08.17
윗세오름-역대 최대 1일 강수량 기록 2014년 8월 2일(토) 제주도 한라산의 윗세오름이 역대 1일 최다 강수량 기록을 갈아 치웠다. 이날 윗세오름에 내린 강수량은 1,182mm였으며 8월 3일까지 누적 강수량은 무려 1,351㎜를 기록했다. 역대 한라산 1일 최다 강수량 기록도 역시 윗세오름이 가지고 있었는데 태풍 메기가 내습한 2004년 8..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4.08.03
풍력발전-경주 조양산 경북 경주시 외동읍과 양북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조양산(해발 562.2m)의 500m~560능선에 세워진 풍력발전기들이다. 토함산에서 감포읍으로 넘어가는 길(불국로)에서 볼 수 있다. 이곳은 형산강(포항과 경주의 경계부분)에서 울산의 태화강까지 남-북방향으로 달리는 산줄기의 한 가운데에..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4.07.31
사과와 의좋은 형제 교과서에 나왔던 '의좋은 형제 이야기'가 지역의 아이콘으로 살아났다. 특산물이나 인물 중심의 지역 아이콘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매우 특이한 소재이다. '이야기'라는 추상적인 소재가 아이콘이 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예산군은 특이하게 '의좋은 형제'를 지역의 상..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4.07.27
예당저수지 어죽 어죽은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음식이다. 토지생산성이 높은 벼농사 중심의 농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가축 사육이 적은 것이 우리 농업의 특징이다. 가축은 돼지나 닭, 개 등 특별히 사료 작물을 재배하지 않고 식량 부산물로 키울 수 있는 것이 전부였다. 따라.. 인문지리/음식문화 2014.07.27
광시 한우 충남 예산군 광시면은 입소문으로 시작되어 이젠 제법 규모가 큰 한우 식당가를 갖추고 전국적으로 손님을 불러들이는 지역의 명소가 되었다. 예전부터 이 일대는 소를 많이 키웠지만 지금처럼 전국적 명소가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한때 육우를 사용한다 하여 타격을 입기도 했.. 인문지리/음식문화 2014.07.27
모소대나무처럼 죽어라고 하는데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것은 큰 걸음을 위해 에너지를 저장해두는 과정이라는 뜻이다. '좋아하는 것을 지치지 않고 죽어라고 하는 것', 그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것이다. 세상 사는 이야기/세상사는 이야기 2014.07.26
계룡산-수려한 화강암 산지 조선의 도읍지가 '될 뻔'했던 역사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아온 계룡산. 그러나 계룡산은 비단 풍수가들 뿐만이 아니라 누구라도 매력을 느낄만한 산이다. 노출된 화강암 암괴가 연출하는 기암 절벽과 함께 연천봉-관음봉-쌀개봉-천왕봉으로 이어지는 주 능선을 중심으로 여러 산줄기가 .. 자연지리/산지 2014.07.25
신재생에너지 개발은 누가 하나? : 민영화의 그림자 석탄, 석유 등 에너지 자원이 빈약한 나라인데도 우리나라는 이상하리 만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적다. 선진국들이, 미국처럼 화석 에너지를 많이 매장하고 있는 나라까지도,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율이 우리나라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을 보면 우리나라가 이에 대한 관심을 적게 보..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4.07.21
흑성산에서 바라본 천안 해발 519m의 흑성산은 천안의 진산인 태조봉(421m)의 뒷편에 있지만 태조봉의 지맥들이 고도가 낮기 때문에 그 너머로 천안 시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지형적 조건 때문에 이곳에는 레이더 기지와 방송국 중계탑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쪽이 틔어있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해서 패러글라.. 천안,아산의 지리환경/산지(천안) 2014.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