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락의 변화-농촌 아파트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촌락의 인구비율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절대 인구가 줄어드는 것과 함께 촌락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직업 구성도 바뀌어 가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1차산업에 종사했던 예전과는 달리 2차, 3차 산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8.06.03
세계 10대 악취 음식 악취가 나는 음식이라… 향기가 나도 모자랄 판에 악취가 나는 것을 음식으로 먹는다? 하지만 냄새는 지독하지만 일단 입에 들어가면 매력적인 맛이 나는 음식이 있다. 냄새와 맛이 구별될 수 있다니 대단한 아이러니다. 물론 모두에게 그런 것이 아니라 매니아들에게만 해당 되지만… .. 인문지리/음식문화 2018.05.26
봉화: 奧地性에서 비롯된 지역성 '奧'는 '아랫목', '깊다', '속'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글자다. 그러니까 '奧地'라고 하면 '내륙 깊숙한 곳'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보통 '개발이 덜 된 촌 동네'를 뜻하는 말로 쓰이지만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을 뜻하는 말로 나쁜 어감의 말은 아니다. 경북 봉화는 전형적인 내륙 오지이..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7.08.06
합덕 깻묵장 비가 내려서 급히 찾아 들어간 음식점에서 '깻묵장'이라는 음식을 처음 맛봤다. 당진 합덕에서. 깻묵은 들기름을 짜면 나오는 부산물이다. 기름이 다 빠져나간 껍데기 덩어리지만 고소한 맛이 나기 때문에 어릴적에는 귀한 군것질 거리였다. 그런데 '깻묵장'이라는 음식은 들어보지 못했.. 인문지리/음식문화 2017.07.31
산지촌의 변화: 춘천 문배마을 ◆ 어떻게 이런 곳을 찾아 냈을까? 해발 350m를 넘는 산 속에 자리잡은 문배마을은 어지간해서는 찾기조차 어려운 산 속 마을이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곳을 찾아 냈을까 싶다. 하천을 따라 올라오다가 하천 주변에 너른 평지를 발견하고 삶터로 선택했을까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 마을..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7.06.15
1년 내내 바쁜 밭농사, 하지만 식구끼리 만으로 할 수 있다. ◆ 밭농사는 바쁘다 밭농사는 바쁘다. 1년 내내 쉴 날이 없다. 여러 종류의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단일 작물을 넓은 경지에 재배하는 경우도 많아졌지만 (☞상업적 농업(고구마 단일 재배) http://blog.daum.net/lovegeo/6780576) 여전히 밭농사는 벼농사에 비..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7.06.14
벼농사 지대의 수리시설 ◆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 벼농사는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벼농사는 다양한 형태의 협동노동을 필요로 한다.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 등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일들이 대부분 협동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단일 작물인 벼를 너른 경지에서 재배하므로 온 마을이 거의 같은 시기에 ..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7.06.13
정주간: 윤동주 생가 ▶ '정주간' , 관북지방 전통가옥의 독특한 내부 공간 '정주간'은 함경도 일대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가옥 내부 공간이다. 안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부뚜막과 방바닥이 이어져 있다. '이어져 있다'는 것은 둘을 구분하는 벽이 없다는 뜻이다. 보통 우리나라 전통가옥은 솥단지를 걸..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7.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