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엽청주(竹葉靑酒) 중국 술의 대명사는 고량주이다. 고량(膏粱)은 수수의 일종으로 주로 화북이나 둥베이 일대에서 많이 생산된다. 그러나 기후 적응력이 강한 작물이기 때문에 중국의 중남부 어디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어서 중국의 대표적인 술의 원료가 되었다. 그런데 중국은 땅이 넓고 다양한 민족이.. 인문지리/음식문화 2013.09.28
동피랑 마을 통영항을 바라보는 산기슭에 자리잡은 동피랑마을은 마을을 문화공간화 함으로써 철거의 위기를 돌파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피랑'은 동쪽에 있는 비랑(비탈의 지역 사투리)이라는 의미이다. 통영시 정량동, 태평동 일대의 산비탈 마을로 서민들의 오랜 삶터이다. 언덕마을에서 바라.. 인문지리/인구&가옥&취락 2013.07.05
제주도의 상징은? 제주도의 상징은 무엇일까? 제주도는 자연적, 인문적, 사회적 자원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고 지금은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전하였다. 다양한 관광자원은 오히려 가장 대표적인 상징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이유가 될 수도 있다. 제주도의 이이콘은 무엇이 적..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3.07.04
대하 마을-홍성군 서부면 대하와 새조개로 유명한 홍성군 서부면은 선착장의 가로등을 대하 모양으로 만들었다. 천수만 너머로 안면도가 보인다. 인문지리/지역 정체성&지명 2013.07.04
서해안의 일출 마을-마량포 해돋이 마을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 마량포는 해돋이 마을로 유명해졌다. 해돋이를 볼 수 없는 서해안에서 당진의 왜목마을과 함께 해돋이를 볼 수 있는 장소로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작은 포구였던 이곳에 많은 관광 기능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서해쪽으로 돌출된 반도이기 때문에 해돋이를 볼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3.07.04
순천만 살아있는 갯벌 순천만이 이젠 완벽한 생태관광자원으로 자리를 잡았다. 갯벌의 상당부분이 일제강점기 이후로 간척되어 논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그 밖으로 새로운 갯벌이 형성되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되었다. 사진의 앞쪽이 간척지이고 사진을 찍은 곳은 망원경으로 철새를 조망하는 .. 인문지리/유통&관광&서비스산업 2013.07.04
수입쌀이 어디에 쓰이나 했더니! 막걸리 제조에 쓰였네! ☞ 클릭! 내년부터 본격활 될 '쌀 전쟁' http://latemarins.tistory.com/1485 ☞ 클릭! 남아 돈다던 쌀마져!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07397&subMenu=dsearch&key 인문지리/음식문화 2013.06.19
제주도 풍력발전 '三多島'라는 이름에 딱 어울리게 제주도는 바람이 많다. 주변이 트인 섬이기 때문에 육지보다는 바람이 많은 것이 당연하다. 제주도의 이러한 특징을 잘 활용하고 있는 것이 풍력발전이다. 제주도에는 여러 곳에 풍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한림읍 금능리 제주월령신재생..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3.06.18
보령화력발전소 단일 화력발전소로는 국내 최대 전력 생산량을 자랑하는 보령화력발전소. 1979년 12월에 착공해 1983년 12월에 1호기(50만㎾급), 1984년 9월에 2호기(50만㎾급)를 준공했다. 현재 8호기까지 설치가 되어 있어 석탄화력발전소로는 국내 최대 규모이며 국내 전체 발전 설비의 8%를 차지하고 있는 대.. 인문지리/광업&공업&에너지자원 201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