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73

[펌]벽에 부닥친 세계화, 다시 ‘지정학’ 시대로 회귀

2017년 국제정세 전망 ‘미국 최우선’ 트럼프 정부 출범 자유무역·동맹 배척 경향 세질것 전쟁기 못지않은 긴장고조 ‘그림자’ 미-중 국지적 군사 마찰 가능성 2016년 12월31일 뉴욕 맨해튼 타임스퀘어에서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모인 시민들. 뉴욕/AP연합뉴스 ■ 세계화 노선과 지정학의 ..

지도 검색

지형도 http://sd.ngii.go.kr:9000/WebMap/webmap.jsp (국토지리정보원) 구 지형도/DEM http://map.ngii.go.kr/mn/mainPage.do (국토정보 플랫폼) 지질도 https://data.kigam.re.kr/(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빅데이터 오픈 플랫폼) 토양 환경지도 http://soil.rda.go.kr/soil/index.jsp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Bing Map http://www.bing.com/maps/?mkt=en-gb 세계지질도 http://portal.onegeology.org/ (One geology) 나라별 면적 http://thetruesize.com 백지도 검색 https://www.ngii.go.kr/child/conte..

학술/연구/취미/교양

취미/교양 나무바다의 사진 블로그 http://blog.naver.com/san7999 지리쌤의 탐구커피 blog.naver.com/PostList.nhn?blogId=limbkh SLR CLUB http://www.slrclub.com/ (아마추어 사진 커뮤니티) Trumpeter http://www.trumpeter.co.kr/ 학술/연구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o.kr/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1910 이후 지도) http://db.history.go.kr/hgis/pro_g1/main.do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

지리학 관련 기관/통계

Mr Data Visualization(데이터 시각화)www.youtube.com/channel/UCXvniehazM3ztnm3zlzlhOg국가에너지통계정보종합시스템www.kesis.net/main/main.jsp기상청http://www.kma.go.kr/☞지역별 기후 자료  https://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jsp☞기상자료개방포털   https://data.kma.go.kr/climate/frst/selectFrstChart.do?pgmNo=705Earth Wind Map(실시간 바람)earth.nullschool.net/ko/자원 생산 및 수출입 현황 http://atlas.cid.harvard.edu/ (The Atlas of ..

[펌]지진으로 막힌 강, 5년만에 뚫은 물의 힘: 타이완 다인강

대만 다안강 강진으로 강 가로질러 암반 댐 형성, 9년만에 깊이 17m 협곡 형성 가파른 산악에 해마다 태풍이 폭우 불러, 수백만년 걸리는 협곡 침식 50년에 끝 우리나라에서 가장 젊은 강인 한탄강은 철원 평야를 칼로 벤 듯이 협곡을 만들며 흐른다. 27만년 전 강원도 평강에서 분출한 용암이 옛 한탄강을 메워버렸다. 그러나 강물은 쉬지 않고 암반의 결정을 한 톨씩 떼어냈고 그 결과 수십m 깊이의 협곡이 만들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협곡은 지각변동으로 지반이 솟아오른 뒤 물의 침식을 받아 만들어진다. 융기된 지반은 주변보다 높기 때문에 강한 침식 압력을 받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오랜 기간 동안 일어난다. 협곡은 수백만년 동안 지속하기도 하고 빙하기를 여러 차례 겪기도 한다. 한탄강 협곡도 27만년 ..

우리나라의 姓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씨를 빼고는 우리 문화를 이야기할 수가 없다. 그런데 문헌을 보다보면 알듯말듯한 용어들이 자주 나온다. 토성, 촌성, 속성, 망성… 이러한 용어들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연원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태조 왕건이 측근들에게 賜姓을 한 것이 성씨가 널리 퍼지는 시작이었다. 지방의 호족이었던 측근들에게 그들의 근거지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내림으로써 土姓이 등장했다. 고려 초기부터 각 본관마다 읍사를 중심으로 반근착절(盤根錯節)되어 있던 토성은 상경종사(上京從仕)·유이(流移)·소멸 등의 과정을 밟아 지역적 이동과 신분적 분화를 계속하였다. 그 결과 기존 토성의 소멸에서 망성(亡姓)이 생기고, 북진정책에 따른 사민(徙民)에서 입진성(入鎭姓)이 생겼는가 하면, 지역적인 이동에서 경래성(京來姓)·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