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지구에 위아래가 있을까?

Geotopia 2012. 7. 17. 21:42

<한반도 주변 위성영상  *위성영상: Google>

 

 

  “앗! 우리나라가 뒤집혔다!”

 

  우리나라의 위쪽으로는 중국과 러시아가 있고 아래쪽으로는 일본이 있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우리로서는 위의 지도를 볼 때 당연히 이런 반응을 보일 것이다.

  지구는 과연 위아래가 있을까?

  지구의 인력은 지구의 중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지구의 위아래는 없다. 그러므로 만약에 위의 그림처럼 그려진다고 해도 아무 상관이 없을텐데도 우리의 관습은 지도가 뒤집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북반구 중위도 지방에 해당하는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북쪽을 위쪽으로 하는 지도를 그려 왔다. 아마도 마을이나 집을 모두 남향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환경에서 만들어진 관습일 것이다. 즉, 우리의 의식은 북쪽이 언제나 뒤편이었고 해가 지나가는 남쪽이 앞쪽이었기 때문에 쉽게 북쪽을 위쪽으로 생각하는 관습이 생겨났을 것이다. 대부분의 세계 문명이 북반구에서 발생했으므로 이러한 인식은 세계적으로 일반화된 것이다.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만들어진 지도들도 역시 북쪽을 위로 하고 있다. 로마의 프톨레마이오스는 서기 150년 무렵 그리스 ·로마 시대의 지리 지식을 집대성하여 유럽에서 중국까지를 포함하는 세계 반구도(半球圖)를 작성하였다. 이 세계지도는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고안하여 정거원추도법으로 투영한 것으로,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지도 역시 북쪽을 위쪽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중세에 제작된 T-O지도는 이와 같은 전형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T-O 지도는 예루살렘이 있는 동쪽을 위쪽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물론 T-O지도가 과학이 종교의 시녀였던 중세 암흑기에 만들어진, 과학성․사실성과는 거리가 먼 지도이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방위표시에 대한 일정한 약속이 당시까지는 없었다는 뜻일 수도 있다. 중세 아라비아에서는 남쪽을 위쪽으로 하는 지도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이중에는 Al-Idrisi(1099~1166)의 지도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남쪽을 위쪽으로 하는 지도가 제작되기도 하였는데 조선 정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성도(都城圖)가 대표적이다.

 

  본격적으로 세계지도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15세기 말∼16세기 초이다. 이때는 콜럼버스, 마젤란 등의 신대륙 탐험이나 세계일주가 이루어지면서 세계의 수륙분포에 대한 지식이 차츰 정확해져가던 때였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세계지도가 출판되었는데, 메르카토르는 1569년에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알려진 정각원통도법을 활용한 지도를 처음으로 제작하였다. 이 지도들은 모두 북쪽을 위쪽으로 하고 있었다.

 

  1884년 워싱턴국제회의에서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자오환(子午環)의 위치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채용함으로써 경선의 중심이 확정되었다. 지구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북극점과 남극점을 연결하는 경선(經線)은 그 연장선이 남극, 또는 북극을 가리키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지구의 위쪽 방향으로 어떤 경선을 따라가더라도 정확히 북극점을 만날 수 있다. 이제 ‘모든 지도의 위쪽은 북쪽’이라는 약속이 전 세계에 통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북쪽이란 어디를 가리키는 것일까?

  북극점?, 북극성?, 나침반의 북쪽?

 

  정답은 모두 북쪽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셋은 일치하지 않는다. 북극점(眞北, 圖北)은 지구 자전축의 중심이고 지도상의 북쪽이다. 그런데 북극성이 가리키는 북쪽(辰北)은 북극점에서 약1° 정도 떨어져 있다. 사실은 북극성도 움직이고 지구는 공전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북극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워낙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약 450광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磁北, magnetic north) 역시 북극점과 일치하지 않는다. 현재 자북은 캐나다의 북쪽 끝 부분에 있는데 실제로는 북극점과 900km 이상 떨어져 있다. 지구 내부 자기장의 영향으로 북극점 근처에 자북점이 형성되는데 자북점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 지난 150년 동안 자북점은 북극점 주변을 1,100km 이상 움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북점이 이동하는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는데 지구 외핵에 있는 철의 용융물의 이동이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은 캐나다에 있지만 앞으로 50년 후에는 러시아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고 한다.

 

<북극점과 자북 *위성영상: Google>

 

  야외조사에서 지도를 정확히 놓으려면 지도상의 북쪽과 실제 북쪽을 일치시켜야 한다. 혹시 밤이라면 북극성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나침반을 이용한다. 그래서 지형도에는 도북과 자북, 그리고 진북이 모두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 본 것처럼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과 지도의 북쪽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야외조사에서 지도를 정확히 놓기 위해서는 나침반의 자침과 지도상의 경선(도북)을 일치시켜서는 안 되며 반드시 자북과 자침을 일치시켜야만 한다. 하지만 이것도 엄밀하게 말하면 정확한 것이 아니다. 자북은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지형도 난외주기>

  뒤집어진 지도는 없다. 다만 ‘북쪽을 위쪽으로 하자’는 약속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것이다. 때로는 뒤집어서 지도를 보기도 하자. 그러면 똑같은 땅도 다르게 보인다. 위의 지도를 보라. 우리나라의 위쪽이 훤하게 트여있지 않은가? 중국 본토를 우백호로, 일본 열도를 좌청룡으로 거느리고 있는 명당자리가 바로 우리 한반도이다. 위쪽 너른 바다로 뻗어 나갈 원대한 꿈을 꾸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