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과 사람들/삶과 지리

'브리튼섬 연합 왕국과 북아일랜드'라는 나라

Geotopia 2012. 7. 25. 12:59

  우리가 '영국(英國)'이라고 부르는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한자 뜻으로는 '꽃 나라"인데

 

 ▶ 영국이라는 이름

 

  '영국(英國)'이란 이름의 기원을 찾아 올라가 보면 이미 조선시대 부터 쓰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England'를 한자로 음역하는 과정에서 발음이 유사한 '英吉利'로 옮겼고 첫 글자인 '英' 자 뒤에 나라 '國' 자를 붙여 '英國'이 되었다. 아마도 중국에서 사용하던 중국식 이름이 우리나라에 전해졌을 것이고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와 우리 나라에 토착을 한 한 마디로 국적이 불명한 이름이 '영국'이다. '亞米利加'에서 온 '美國(해방 후 슬그머니 '쌀(米)'이 '아름다운(美)'으로 바뀌었지만)'과 같은 형식의 이름이다. 그러니 '꽃 나라'라는 뜻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이름이다.

 

  그렇다면 이 나라의 원래 이름은 무엇일까?

  '브리튼섬 연합 왕국과 북아일랜드(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thern Ireland)'라는 긴 이름이 이 나라의 정식 명칭이다. 그렇다면 어떤 왕국들이 연합을 했다는 말인가? England, Scotland, Wales 세 왕국이 Britain섬에 있고 이 세 왕국이 연합한 것이 연합왕국이다.(그러니 'England'를 '英吉利'로 옮긴 것은 실수였던 셈이다. 'England'는 Great Britain의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인들에게 잉글랜드인이라고 하면 상당수의 다른 사람들(스코틀랜드인, 웨일즈인)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영국 지도 *출처:두산백과>

 

  그런데 왜 난데없이 'Nothern Ireland'가 뒤에 붙었을까?

  아일랜드는 영국 서쪽에 있는 섬나라이다. 일찍부터 영국의 튜턴과는 다른 켈트(Celt)족이 살고 있었다.

 

<북아일랜드 *원도: Bing Maps(http://www.bing.com/maps)>

 

 

 ▶ 켈트족(Celts)과 영국

 

  그렇다면 켈트족은 어떤 민족일까?

  우리나라가 배출한 국제적 축구스타 중의 한 사람인 기성용선수가 EPL의 셀틱(Celtic)에서 활약을 했었다. Scotland의 Glasgow에 홈구장을 갖고 있는 이 팀의 이름이 바로 Celt에서 왔다. 금발이나 붉은 머리가 특징인 켈트족은 원래 독일의 라인강 유역, 오스트리아의 도나우강 유역 일대에 살던 사람들로 BC 10세기 경 부터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BC 4세기 무렵에는 프랑스북부, 스페인, 이탈리아에 진출하였고 BC 3세기 경에는 소아시아반도 까지 진출했었다. 하지만 켈트족의 전성기는 BC 1세기(갈리시아) 부터 AD 1세기(브르타뉴) 사이에 로마에게 정복을 당함으로써 막을 내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점차 주변 민족에 통합되어 현재 순수 켈트족은 유럽의 일부 지역에만 남아있다. 순수 켈트족이 분포하는 대표적인 지역은 아일랜드와 영국의 스코틀랜드 지역이며, 프랑스 서부의 브르타뉴 반도와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포르투갈에도 거주한다. 결국 현재 켈트족이 다수를 이루는 나라는 아일랜드 뿐이다.

 

  영국의 역사에서는 다소 호전적인 민족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영화 로빈훗에서 리처드왕의 동생 존을 도와 로빈훗을 공격하는 용병들이 바로 켈트족이다(물론 역사적으로 증명된 이야기는 아니고 영화 속 이야기지만).

 

 ▶ Celtic Sprituality

 

 

  로마제국의 확장과 함께 175년 기독교가 브리튼섬과 아일랜드에 전래되었다. 이후 5세기 경 부터 아일랜드에서는 13세기까지 켈트 기독교가 독특한 특징을 형성하며 발달하였다. 특히 영성(Sprituality)을 얻기 위한 수양의 과정에서 자연을 사랑하고 문학과 예술에 깊은 관심과 사랑을 표현하는 특유의 기독교 문화를 형성했는데 이를 셀틱영성(Celtic Sprituality)이라고 한다. 이러한 독특한 아일랜드 기독교의 발전은 1172년 영국(잉글랜드)의 침공으로 절정기를 마치게 된다. 이후 영국은 오랫동안 아일랜드를 식민지로 지배했지만 아일랜드인들은 끈질긴 저항으로 영국 세력을 몰아내었다.

 

  아일랜드의 켈트족들이 결정적으로 영국과 다른 종교문화를 가지게 된 것은 1534년 영국 국왕 헨리8세의 수장령(Act of Supremacy) 선포와 관련이 깊다. 셀틱영성으로 상징되는 독특한 종교문화가 아일랜드에 발달하고 있었지만 이전까지는 아일랜드와 영국 모두 정통 가톨릭을 신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로마 교황청의 지배권을 이탈하여 영국국교회를 창립한 헨리8세는 같은 해 아일랜드를 침공하여 아일랜드를 영국의 식민지로 만들었다. 이때의 침공으로 이후 1921년 독립을 할 때까지 아일랜드는 400여 년의 긴 기간 동안 영국의 식민지 치하에 있었다(아일랜드 민요들이 구슬픈 멜로디와 가사로 이루어진 것은 바로 이러한 역사 때문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후 아일랜드인들은 영국을 축출하기 위한 끈질긴 저항의 과정에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키기 위해 가톨릭을 고수하고 더욱 굳건하게 신봉하였다. 아일랜드와 영국이 민족과 종교 측면에서 매우 다른 길을 걷게 된 것이다.

 

▶ 북아일랜드 갈등의 뿌리

 

  이러한 상황은 북아일랜드에서 더욱 심각하게 진행되었다.

  18세기부터 스코틀랜드에서 개신교(장로교)도들이 대규모로 아일랜드 북부 지역(영국명 얼스터(Ulster))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기존의 아일랜드인들을 밀어내고 경제적, 정치적 지배권을 장악해 나갔다. 이에 아일랜드 민중들은 끈질지게 저항을 계속하였고 스스로의 단결력을 강화하는 방편의 하나로 가톨릭 정체성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 하지만 일부 지주계급들은 장로교로 개종함으로써 경제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자본은 민족을 초월한다'는 명제는 동서를 막론하고 진리이다. 민족을 팔아 배를 불린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나 아일랜드의 지주계급이나…

  19세기에는 산업혁명으로 영국과 유사한 급성장의 과정을 밟았다. 당시까지 농목업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있던 대부분의 여타 아일랜드 지역과 북아일랜드의 경제적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같은 이유로 산업자본을 소유한 영국인 및 장로교로 개종한 아일랜드인들과 일반 아일랜드인 간의 경제적 격차도 더욱 커졌다. 

 

▶ 아일랜드의 독립과 북아일랜드 갈등의 심화

 

  아일랜드인들의 끈질긴 저항은 마침내 1921년에 결실을 맺어 '아일랜드자유국'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영국계를 중심으로 한 북아일랜드의 기득권층이 독립을 반대함으로써 1922~1923년 아일랜드 내전이 발생하였다. 북아일랜드의 기득권층은 1912년의 아일랜드 자치법, 1919년의 아일랜드 독립전쟁 등에 모두 반대하면서 영국 치하에 남아있고자 하는 합방주의(Unionism)를 고수하였다. 결국 1923년 내전의 종결과 함께 북아일랜드와 남아일랜드는 실질적으로 분단이 되게 되었다. 1949년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아일랜드는 영연방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하여 독립국가가 되었고 북아일랜드는 연합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북아일랜드에서의 불평등과 이로 인한 갈등은 지속되었다. 1968년 이후에는 차별에 항의하는 구교도들의 민권운동이 시작되었고 곧 이어 1969년 부터는 IRA(아일랜드 공화군)의 무장투쟁이 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신교도들은 얼스터방위군과 (UDA/ Ulster Defence Association) 얼스터민병대(UVF/ Ulster Volunteer Force)를 조직하여 IRA의 공격에 무력으로 대응하면서 유혈사태는 더욱 확대되었다. 

  1972년 영국은 북아일랜드에 허용했던 자치권을 회수 함으로써 갈등을 더욱 고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1972년 7월 영국군이 아일랜드 시위대에 발포하여 1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피의 일요일'로 일컬어지는 이 사건은 IRA의 무장투쟁을 더욱 격화시키는 촉발제가 되었다. 이후 양측의 유혈 충돌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는데 1997년 IRA의 휴전제의와 1998년의 평화협정, 그리고 1999년 국민투표를 통하여 영국정부로 부터 자치권을 회수할 때 까지 사상자 수가 3,200여 명에 이르렀다.

 

 ▶ 북아일랜드의 현재

 

  무장충돌은 소강상태이나 갈등의 불씨가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갈등의 요소를 풀기 위한 노력들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무장해제위원회(Decommissioning Commission)가 양측의 무장해제를 추진하여 2005년 IRA의 무장해제 확인을 받았으며, 양측 종교 지도자들은 에큐메니컬 운동으로 표현되는 종파주의 극복 운동(같은 기독교인으로서 믿음 아래 하나가 되자는 운동)을 통하여 종교적인 화해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극우정당 DUP(Democratic Unionist Party)의 대표이면서 복음주의를 자처하는 장로교 목사인 이안 페이즐리(Ian Paisley) 등 극우파들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있다. 2001년 신교도들이 성십자가가톨릭여학교 학생들의 등교를 방해함으로써 발생한 폭력사태가 그러한 조류를 반영한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IRA 강경파로 의심되는 무장세력이나 아일랜드와의 통합을 주장하는 Real IRA 등의 테러가 간간이 지속되는 등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태이다.

 

<IRA(Irish Republican Army) 벨파스트 여단의 군가>

 

Craig Adams sent the Specials out to shoot the people down
He thought the IRA were dead in dear old Belfast town
But he got a rude awakening with the rifle and grenade

When he met the 1st Battalion of the Belfast Brigade
Glory, glory to old Ireland, glory, glory to this island
Glory to the memories of the men who fought and dies
`No surrender` is the war cry of the Belfast Brigade
The soldiers came from Holywood equipped with English guns
They had men by the thousands, ammunition by the ton
But when they got to Belfast they were seriously waylaid
By the Fighting 1st Battalion of the Belfast Brigade
We have no ammunition or no armoured tanks to show
But we`re ready to defend ourselves no matter where we go
We`re out for our Republic and to hell with your free state
`No surrender` is the war cry of the Belfast Brigade
Come all ye gallant Irishmen and join the IRA
To strike a blow for freedom when there comes our certain day
You know our countries history and the sacrifice it made
Come join the 1st Battalion of the Belfast Brigade

'땅과 사람들 > 삶과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여러 나라 이름의 유래  (0) 2012.08.05
땅도 사람을 닮았다  (0) 2012.07.27
지구에 위아래가 있을까?  (0) 2012.07.17
나의 선상지 답사 실패기  (0) 2012.07.16
산경(山經)과 산맥(山脈)  (0) 201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