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논산

회니시비(懷尼是非)와 노소 분당

Geotopia 2020. 2. 18. 00:42

  우암 송시열과 명재 윤증 사이에 벌어진 논쟁을 말한다. 송시열은 회덕(懷德)에 살았고 윤증은 니산(尼山)에 살았기 때문에 첫 글자를 따서 '懷尼'라는 이름이 붙었다. 숭명 의리론과 주자 무오류설을 추종했던 송시열을 윤증이 비판하면서 논쟁이 촉발되었고 노론과 소론이 분당되는 원인이 되었다.

회덕과 니산 사이. 금남정맥을 사이에 두고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였다. *「팔도분도 호서도」

 ① 윤선거(윤증의 아버지, 1610~1669)와 송시열(1607~1689)은 김집에게 사사한 동문이다. 그런데 윤선거는 윤휴(1617~1680)와 교류하였는데 남인이었던 윤휴와 교류하는 윤선거에게 송시열이 여러 차례 절교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윤선거가 이를 거절하였다.

 ② 이에 송시열은 윤선거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살아나온 사실을 비난하였다.

 ③ 윤선거가 죽자(1669년(현종 10)) 윤증은 스승인 송시열에게 여러 자료와 박세채가 지은 행장을 가져다 주고 아버지의 묘갈명을 부탁하였지만 써줄 것이 없다면서 거절하였다. 박세채가 지은 행장이 잘 지어졌으므로 자신이 보탤 것이 없다는 이유를 대고 마지못해 행적만 간단히 정리했을 뿐이었다. 이후 윤증은 4~5년 간 묘갈명의 개찬(改撰)을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송시열은 매번 자구 몇 자만 수정할 분 끝내 청을 들어주지 않았다. 옳지 못한 과거 행적(병자호란 때 살아남았다는 사실)과 주자학에 대한 사상적 태도(윤휴와 교류한 점)를 문제삼은 것이다.

  ☞ 송시열과 윤휴의 관계: 송시열도 한때 윤휴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윤휴가 「讀書記」라는 책을 짓자 송시열은 윤휴를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규정하고 극렬하게 비판하였다. 이 책은 윤휴가 주자의 글에 자신만의 새로운 해석을 하고 주를 단 책이었다. 윤휴는 특정한 학파에 속하지 않고 학문을 한 사람이어서 사상이 자유로운 편이었다. 공주에 내려와 살면서 송시열, 윤선거, 윤문거 등 기호학파의 중심인물들과 교유했을 뿐 아니라 남인이었던 권시(權諰)와도 막역하였다. 영남 남인과 학통을 같이 하지 않으면서도 같은 정치적 입장을 가지게 되었던 것은 이러한 사상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송시열은 주자의 사상을 절대적이고 완벽한 사상으로 평가하였으므로 이견이나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지 않은 대상으로 생각했다. 따라서 송시열의 입장에서 윤휴는 사문난적이 분명했다. 송시열은 주자 사상의 절대성을 글로써 증명하고자 하였으나 생전에 완성을 보지는 못했다(그 뜻을 유훈으로 남겨 제자인 권상하를 거쳐 한원진에 이르러「朱子言論同異考」로 완성되었다).

  송시열과 윤휴 사이의 불화는 효종(己亥禮訟, 1659)·효종비(甲寅禮訟, 1674)가 승하하면서 벌어진 예송논쟁(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의 복상 문제)에서 이견을 드러내면서 심화되었다. 이 문제는 단순한 견해 차이를 넘어 왕실의 정통성과 권위의 문제와 직결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따라서 당시 사대부들이 접하고 있던 모든 사상이 총동원되었던 사상투쟁으로 조선왕조 중반을 넘기면서 사대부 통치체제를 강고하게 하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이때 윤선거는 송시열과는 달리 윤휴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고 그와 교류를 계속하였다. 이에 송시열이 격분하였고 윤선거는 자신의 생각을 더 이상 표출하지 않음으로써 논쟁이 일단락 되었다.

▣ 전개

① 1680(숙종 6년) 庚申換局(허적의 유악(油幄: 비가 새지 않도록 기름을 칠한 천막)사건이 계기가 되어 남인이 대거 실각하고 서인이 득세한 정변)으로 서인이 집권하면서 실각한 남인을 처벌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때 송시열은 남인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통한 서인 독재를 주장하였다.

 ② 이듬 해(1681년) 윤증은 「신유의서(辛酉疑書)」를 통해 송시열의 정치적 독단으로 남인들이 대거 죽임을 당하였다면서 송시열을 주자를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교조주의자로 평가하였다.

노성의 윤증 고택. 윤증은 이 집에 산 적이 없었으므로 고택(古宅)이 아니라 '故宅'이다.

 

▣ 결과: 송시열, 윤증 사후에도 오랫동안 이어진 갈등

 이에 서인은 윤증을 지지하는 소장파(少論)와 송시열을 지지하는 노장파(老論)로 갈라서게 되었다. 둘 간의 대립은 두 사람의 사후에도 이어졌다. 윤증 사후에 윤증고택 바로 옆에 노론의 핵심 인물들이 궐리사를 세운 것이 좋은 예이다. 소론이 집권한 적이 없었음에도 노론의 견제는 계속되었고, 영조 이후 노론 집권이 확립된 이후로도 노론의 견제는 꾸준히 이어졌다. 

  니산(尼山)에서 노성(魯城)으로 이름이 바뀐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즉, 1800년 정조가 갑자기 승하하고 순조가 즉위하면서 노론 세력이 정권의 핵심으로 급부상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1805년에 궐리사가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던 것은 노론의 소론 견제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는 주장은 꽤 알려진 중론이다. 일설에는 '니산(이산)'이 정조의 이름인 '李祘'과 발음이 같아서  피휘(避諱)한 것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노성으로 바뀐 해가 정조가 승하한 1800년인 점을 생각하면 신빙성이 높지는 않다. 심지어 ' 祘'은 1800년에 '성'으로 발음이 바뀌었는데, 전국에 '이산', 또는 '~리산' 등이 너무 많아서 피휘에 한계를 느끼고 왕 이름의 발음을 바꿨다는 주장도 있다. 

명재고택(故宅) 옆에 있는 궐리사. 송시열이 세상을 떠난 뒤 당시 노론의 영수였던 권상하가 주도하여 1716년 세웠다. 윤증이 세상을 떠난 1714년에서 겨우 두 해가 지난 다음이었다. 소론에 대한 노론의 적대감을 읽을 수 있다. 더욱이 원래 이곳에 있지 않았던 것을 1805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원래는 이곳보다 훨씬 서쪽에 있었다고 한다. 1805년은 순조가 즉위(1800)한 이후 정순왕후가 수렴첨정을 하던 시기로 노론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던 때이다. 소론의 영수 윤증고택 바로 옆에 노론의 상징물이 옮겨졌다는 사실을 통해 노소 갈등이 19세기 초반까지도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감시 받고 사느니 대문을 없애겠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감시 받고 사느니 대문을 없애겠다 141 노·소론 갈등과 논산 윤증 고택의 비밀

www.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