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여행기&답사자료/백령도

백령도

Geotopia 2023. 2. 21. 07:54

 답사지

*네이버지도

 

박경 외, 2015, 백령도의 보존가치가 높은 지형과 활동 방안에 관현 연구, 응용지리(28).

 

 지질구조

백령도의 지질(Fig. Ⅱ-1)은 북동쪽 진촌리 일대에 분출되어 있는 상당량의 맨틀 포획암을 갖는 신생대 현무암 (Lee, 1995; Park, 2010)을 제외하고는 주로 원생대의 백령층군(Lim et al., 1999)으로 구성되어 있다. Lim et al.(1999)은 백령층군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깊은 대륙붕으로부터 얕은 대륙붕을 거쳐 조간대 환경으로 변하는 해성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백령층군을 하부로부터 중화동층(두께 350-400 m), 장촌층(두께 650-700 m) 및 두무진층(두께 350-500m)으로 구분하였다. 백령층군의 암석구성과 층서적 특징, 그리고 인근 도서들인 대청도와 소청도의 석회암 및 고회암의 발달상태, 스트로마톨라이트 산출 등으로 미루어, 근접한 황해도 옹진 일대에 분포된 상원누층군의 하부인 직현층군의 오봉리층과 장수산층에 대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북한학자들에 의한 최근 논문(Kim, M.C. et al., 2016; Park et al., 2016)에서 과거에 사용하던 상원누층군이나 직현통과 같은 명칭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상원누층군, 직현층군으로 표기하고 있어서 이 논문에서도 이를 따랐다. 백령도의 동쪽에 위치한 북한의 황해남도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상원누층군은 시생대, 하부원생대의 습곡기반 위에 경사부정합으로 놓여있으며 구현계에 의하여 부정합으로 덮여있는 상부원생대층으로 퇴적암석학적 특징과 화석에 의하여 아래로부터 직현층군, 사당우층군, 묵천층군 및 멸악산층군으로 나뉜다(IGSASDPRK, 1996).
북한의 황해남도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상원누층군의 하부에 놓인 낭림육괴의 기저암체를 관입한 몬조화강암의 정치시기는 1854±12 Ma(Zhao et al., 2006)로 남한의 경기육괴와 영남육괴에서 흔히 보고되는 고원생대 암석들의 연령과 비슷하다. 북한의 상원누층군 퇴적암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중 가장 젊은 저어콘의 연령이 약 990 Ma이고(Hu et al., 2012), 상원누층군를 관입한 고철질 화성암의 연령이 약 900Ma(Peng et al., 2011)이기 때문에 상원누층군의 퇴적시기는 신원생대초로 제한된다. Hu et al.(2012)은 황해남도의 상원누층군 암석이 북중국지괴의 남연변의 퇴적층에서 구한 쇄설성 저어콘과 비슷한 양상의 중원생대 연령분포를 보이는 것으로부터 북중국과 북한지역이 하나의 강괴로 진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다.
Lim et al.(1999)은 장촌층은 이질암과 사질암이 교호된 지층군으로 담회색~회색, 담황회색의 중립~조립질 규암층, 회색의 세립질 사암 내지 규암층, 회색~암회색의 이암 및 실트암층의 호층대이며 세립질 사암류는 상당히 규암화하였으며, 일부는 천매암질 사암이라 보고한바 있다. 이번 연구지역에서도 그 특징을 잘 볼 수 있다(Fig. Ⅱ-2). 또한 Lim et al.(1999)은 두무진층은 사층리와 연흔 구조가 잘 발달된 담회색~회백색의 규암층의 두꺼운 누적대이며. 규암은 대부분 조립질 석영규암이나 회색의 세립~중립질 사암 및 규암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두무진층은 풍화/침식에 대한 저항도가 커 대체로 고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파식작용에 의해 두무진을 비롯한 해안지역에서 절벽 등 파식지형을 이루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김명정, 2021, 백령도 일대와 옥천변성대에 분포하는 신원생대 층의 지화학 및 지질연대학적 연구,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보존가치가 높은 백령도 지역의 1등급 지형

박경 외(2015)


동여도(東輿圖)

 

▶ 장연백령진도(長淵白翎鎭圖) 1872지방지도

백령도에 설치된 진을 그린 지도. 백령도는 조선시대에 長淵縣에 속해 있었던 섬인데 지금은 인천광역시에 소속되어 있다. 황해도의 바닷길 關防으로는 가장 중요한 요충지였다. 이러한 군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일찍이 고려시대에 진을 설치하고 현종 때 鎭將을 두었다. 그 후 혁파되었다가 조선 1609년(광해군 원년)에 진을 설치하고 水軍僉節制使(정3품, 당상관)를 두었다. 조선후기에는 중국에서 몰래 들어와 魚採하거나 무역하는 황당선이 이곳을 경유하기도 하여 이들을 잡는 전초기지가 되기도 했다. 지도에는 백령도를 비롯하여 대청도, 소청도, 그리고 황해도 해안 지방이 그려져 있다. 백령도에는 馬場도 설치되어 있었는데, 輿地圖書에 의하면, 牧馬가 雌雄을 합쳐 78필이었는데 司僕寺에서 구획을 나누어 分養하고 가을 9월에 잡아들였다 한다. 당시 이 섬에 살고 있는 주민은 423戶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백령도 - 나무위키

섬 밖으로 가는 교통은 여객선이 유일하다. 여객선의 경우 기상 상황에 따라 운항 여부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풍랑이나 시정 주의보 같은 기상특보가 잦아 1주일에 하루 정도는 결항된다고 봐

namu.wiki

 

▶ 백령도 전설: 성기조, 2008, 백령도에 전하는 두 가지 전설, 어항(2008 봄호), pp. 54-58.

 

원문보기 - ScienceON

 

scienceon.kisti.re.kr

 

▶ 개신교 선교사가 최초로 들어왔던(1932) 섬 백령도

 

[역사기획/ 사적지 지정 앞둔 총회 신앙유산] ⑭ 백령도 중화동교회 - 기독신문

한국교회 신앙문화 원형 귀하게 지켜오다초기 선교사 활동 이후 철저한 신앙전통 바탕, ‘복음의 땅’ 긍지의 역사 이어가대한민국 서쪽 끝 섬에는 그 모양이 힘차게 비상하는 학의 하얀 날개

www.kidok.com

 

▶배 시간

▶배삯

 

▶숙박 & 랜트카: 백령월가팬션 032-836-8061 / 팬션형 15만원 / 랜트카 15만원(스타렉스/기름값 포함)  *1월24일(화) 예약 / 터미널로 랜트카가 나옴

 

백령도월가

백령도월가, 백령도 여행, 백령도 여행사, 백령도, 대청도, 대청도 여행, 대청도 여행사

ukhome.co.kr

 

▶두무진 유람선: 19,000원

겨울철에는 운영하지 않는다는ㅠㅠ

 

▶ 여행기

 

1박 2일 백령도 여행, 두무진 유람선 등 주요 명소 추천과 렌터카 정보까지

백령도에 다녀왔다. 두 번은 가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또 다녀왔다. 2013년에 다녀왔으니 이게 벌써 몇...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