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80

지향사(地向斜, geosyncline)

'지향사(地向斜, geosyncline)'는 판구조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진 이후로 사용하지 않게 된 용어이다. 지질 작용을 단순히 지각의 상하운동으로 설명하는 개념이어서 복잡한 지질 작용을 설명하기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땅을 향해 기울어짐'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가. 정의 장기간에 걸친 침강이 계속되어 두꺼운 지층이 퇴적된 지역. 오늘날 세계적인 대산맥들 가운데 두꺼운 퇴적층이 존재하는 곳은 그곳이 과거 지질시대에 지향사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서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동해, 오호츠크해를 연결하는 긴 지대 및 지중해, 멕시코만 등은 현재 계속 퇴적물 이 쌓이고 있는 '살아있는 지향사'라고 할 수 있다. 나. 지향사의 분류 ① 正지향사 : 대륙 사이에 발달한 것으..

건조지형

① 지형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기후의 특징 가. 식생 빈약, 큰 일교차→바람과 동파에 의한 기계적 풍화 활발 나. 간헐적 집중호우→포상홍수(布狀洪水, sheet flood) 침식 ☞클릭! 포상홍수침식(사진) ② 사막의 종류 : erg(모래사막)→reg(자갈사막)→hamada(암석사막) ☞ 클릭! 사막의 종류(사진) ③ 사막 지형 가. Barchan-바람의 퇴적 ☞ 클릭! 칠레 아타카마 사막의 사구(사진) 나. 버섯바위, 삼릉석 - 바람의 침식 ☞ 클릭! 버섯바위(사진) 다. 페디먼트-포상홍수 침식 ☞ 클릭! 페디먼트와 인셀버그(사진) 라. Wadi(乾川)-대상(caravan)들의 통상로 ☞ 클릭! 와디(사진) 마. 외래하천-나일강,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인더스강 등 ☞ 클릭! 외래하천(사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