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연어가 기절한 까닭은? 전세계 연어 생산 1위 노르웨이 양식현장 부화에서 성장까지 전과정 자동화 부화한 뒤 2년 반 걸려 팔뚝만한 다 자란 연어 예전에는 망치로 내려치다 최근에는 동물보호법 적용 마취해서 처리 <트롬쇠의 살마르 양식장 *자료:한겨레신문, 2013.4.17> 피오르, 무라카미 하루키, 비틀스. 이.. 땅과 사람들/지리 시사자료 2013.04.17
카르(kar, 圈谷) 카르란 빙하의 출발점에 있는 침식 지형을 말한다. 진행 방향은 터져 있는 말발굽 모양의 지형이어서 '우리 圈'자를 써서 '권곡'으로 부르기도 한다. 얼음이 집적되어 하중이 커져서 이동을 시작할 때 만들어지므로 산 정상쪽은 깊게 깎여서 절벽면을 이룬다. 산 정상을 중심으로 여러 개..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1
혼(Horn, 尖峰) 빙하가 출발하는 산의 정상 부분은 주변에 여러 개의 카르(kar)가 형성되면서 침식을 당해 뾰족한 모양으로 발달한다. 이러한 첨봉(尖峰)을 혼(horn)이라고 한다. 알프스의 첨봉들을 프랑스에서 '혼(horn)'으로 부른 것이 그 어원으로 유명한 예로 마테혼(matterhorn)이 있다. 사진은 아르헨티나 ..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1
빙하 침식과 퇴석 빙하 침식은 빙하의 밑바닥과 옆부분 등 전방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침식 물질들은 빙하의 말단부에 퇴적되어 빙퇴적 지형을 형성하는데 모레인(moraine)이나 케임(kame)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모레인은 퇴적되는 위치에 따라 빙하의 옆 부분에 퇴적되는 측퇴석과 바닥에 퇴적되는 저퇴..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1
명당이란?-가야산 남연군묘 명당의 대명사로 알려진 남연군묘. 충남 예산, 서산의 경계를 이루는 가야산의 동쪽 기슭에 자리를 잡고있다. '2대천자지지(二代天子之地)라는 지관의 말에 따라 대원군이 그의 부친 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그의 아들이 대한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니 단순하게 생각하면 맞는 말인 듯 하지만 결국 그 후손에 이르러 조선왕조가 멸망하고 일제에 나라를 넘겨주었으니 과연 '명당'이 맞는 것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 개인적으로는 천자의 지위를 누렸으나 나라는 망했으니 이건 아무래도 명당이 아니다. 침몰해가는 배에서 선장 노릇을 하는 것도 출세라고 한다면 맞는 말이지만. 도참적인 음택풍수가 유행하던 조선후기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장소이다. 풍수가 가문과 개인의 영달을 위한 장소인식체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성.. 인문지리/문화 역사 2013.04.10
화강암 산지와 편마암 산지의 하식곡 편마암산지는 풍화속성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선 부분을 따라 침식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좁은 협곡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풍화속성이 강한 화강암산지는 하천에 의해 풍화물이 넓게 개석되어 계곡이 넓고 사면이 완만하게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 사진은 광덕산의 천.. 자연지리/산지 2013.04.10
곡빙하와 U자곡의 형성 물은 미세한 경사만 있어도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홍수가 나지 않는 이상 하곡을 가득 채우고 흐르는 일이 거의 없다. 즉, 하곡의 수량은 강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며 평상시에는 그 수량이 많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하천의 침식능력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0
찰흔(擦痕, rub pattern) 빙하는 엄청난 무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때 바닥이나 옆 면의 암석에 뚜렷한 마찰의 흔적을 남긴다. 이를 찰흔이라고 하는데 빙하의 이동 방향으로 긁힌 자욱을 확인할 수 있다. <페루 쿠스코 삭사이와망의 찰흔> <아르헨티나 모레노 빙하 주변의 찰흔>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10
기생화산(parasitic volcano) 오름은 주화산인 한라산의 분화 이후 제주 곳곳에서 지하의 용암이나 스코리아, 가스, 화산쇄설물 등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소화산(小火山)이다. 학술용어로 기생화산이라고 하며, 독립된 산이나 봉우리를 뜻하는 오름이라는 아름다운 제주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멀리서 바라보면..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응회구(tuff cone): 성산일출봉 제주도의 동쪽 끝인 성산에서 일출을 가장 잘 감상할 수 있는 곳인 일출봉은 제주10경 중 단연 제1로 꼽힌다. 정상의 거대한 분화구는 마치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바다로 옮겨 놓은 듯하다. 하지만 바다에 우뚝 선 성산 일출봉은 도내 360개에 이르는 새끼(기생)화산의 하나다. 그러나 유..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산굼부리-피트분화구(pit crater) 산 정상이 아니라 평지에 있는 제주도 유일의 분화구로 산굼부리는 ‘산에 생긴 구멍(굼)’이란 뜻의 제주도 방언이다. 전체적으로 큰 대접모양을 하고 있다. 낮은 구릉을 이루고 있는 산굼부리는 주차장에서 제일 높은 곳까지의 높이 차이가 31m이며, 정상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132m로 ..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9
지중해성 기후의 여름 강수 여름철에 아열대고압대의 영향을 받는 지중해성기후지역은 여름철에 비가 내리지 않고 기온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초본류의 생육에 제한이 크기 때문에 여름철에 풀이 뒤덮여 있는 초지를 보기 어려운 곳이 많다. 비가 잘 내리지 않지만 갑자기 비가 쏟아지면 사진처럼 흙탕물이 쏟아.. 자연지리/기후 2013.04.09
U자곡과 피요르(Fjord) 얼음은 얼어붙기 때문에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얼음이 집적되어 형성되는 빙하는 무게가 증가하여 얼어붙어 움직임을 방해하는 요인을 뛰어넘을 만큼 중력 에너지가 증가하면 마침내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때 엄청난 무게 때문에 빙하는 깊은 협곡을 만든다. 따라서 빙하가 후퇴한 후..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09
Finger lake : 손가락 모양의 호수 대륙빙하가 이동하면서 땅을 깎은 자리에 융빙수가 고이면 빙하호가 된다. 이때 빙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손가락 모양으로 침식이 이루어져 손가락 모양의 호수가 생기기도 한다. <손가락 모양의 호수: 칠레 남부>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09
드럼린(Drumrin) 빙하는 다양한 퇴적지형을 만들어내는데 이를 통칭하여 모레인(moraine)이라고 한다. 기존에 형성된 모레인이 빙하의 확대에 따라 빙하에 침식을 당하게 되면 사진처럼 숟가락을 엎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의 지형이 만들어진다. 이를 드럼린이라고 한다. <칠레 남부지역의 드럼린과 빙하호..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09
크레바스(Crevasse)와 융빙수로 빙하는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쪼개진 틈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크레바스라고 한다. 크레바스는 그 깊이가 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기온이 올라가는 계절에는 표면의 융빙수가 크레바스로 흘러들기도 하는데 이 융빙수들은 빙하 내부의 융빙수 통로..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09
백야 극지방의 여름철에는 해가 지지 않는 백야가 이어진다. 칠레 남부 푸에르토나탈레스는 남위 51도 43분으로 남극권에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백야의 영향을 받는다. 여름철인 1월달에는 열 한 시 가까이 까지 해가 지지 않는다. 자연지리/기후 2013.04.08
칠레 와인 여름이 덥고 건조한 지중해성기후(Cs)지역의 와인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와인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를 비롯하여 스페인, 이탈리아 등 지중해 연안 국가는 물론이고 남아프리카, 칠레,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이 모두 와인으로는 명함깨나 내미는 나라들이다. 와인의 품.. 인문지리/음식문화 2013.04.08
건조지역의 농업 농업에 가장 중요한 자연적 조건이 강수이므로 건조지역은 농업에 매우 불리한 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 농업이 불가능한 지역이거나 아니면 유목 형태의 목축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농업은 상대적으로 물이 풍부한 외래하천 유역과 오아시스에서 이루어진다. 재배 작물도 건..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3.04.08
오아시스 건조지역의 배후산지에서 흘러 내린 물이 지하의 대수층을 따라 흐르다가 지형적 조건이 갖춰진 곳에서 지표로 드러난 것이 오아시스이다. 따라서 그 분포가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물이 풍부하지도 못하다. 물이 부족하므로 농목업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소규모의 .. 자연지리/건조&빙하&주빙하 지형 2013.04.08
서안해양성 기후 지역의 목축업 연중 기온이 일정한 서안해양성기후는 인간 생활에 유리한 측면을 가지고 있지만 여름 기온이 높지 않기 때문에 곡물 재배에 불리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인구 부양력이 높은 벼농사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밀이나 보리 같은 맥류를 주로 재배할 수 밖에 없다. 반면에 연중 온화하고 강수.. 인문지리/농목업&임업&수산업 2013.04.08
후지산 일본의 대표적인 화산인 후지산은 전형적인 원추형 화산이다. 정상부분에는 화산쇄설물들이 지표면에 노출되어 지각운동이나 강수 등의 원인으로 자주 흘러 내린다. 후지산에 오르는 도로 곳곳에는 쇄설물이 흘러내려서 도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단한 터널 같은 구조물을..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7
성층화산의 화산 쇄설물층 화산의 형태는 용암의 특성, 분출물의 종류, 분출 방법 등에 의해 차이가 발생한다. 쇄설물이 분출되는 경우에는 분출물들이 낙하하면서 안식각에 퇴적이 되기 때문에 대부분 원추형의 화산체(원추화산, Konide)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쇄설물만으로 이루어진 화산체는 거의 없고 여러 ..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7
용암류가 비껴간 식생의 섬 1963년 바뚜르 화산의 분화로 흘러내린 용암류가 바뚜르산의 서남부를 산록의 뒤덮어서 모든 식생이 절멸하였다. 하지만 산록부에 해발고도가 높은 일부는 용암류의 흐름이 미치지 않아 오늘날 식생의 섬을 이루고 있다.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7
발리 최고봉 아궁산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최고봉인 아궁산(3,142m). 여러 차례 마그마와 화산쇄설물이 교대로 분출하여 형성된 전형적인 성층화산(원추형 화산)으로 발리의 많은 곳에서 그 정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성한 공간으로 발리인의 정신적 중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집집마다 반드시 있는 '가정사.. 자연지리/카르스트&화산 지형 2013.04.07